국회 AI 포럼, "AI 없인 치안도 없다"…미래형 치안정책 로드맵 제시

입력 2025-09-17 18:33:2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전문가들 "AI·드론·로봇으로 치안 혁신…국민 체감 안전사회 구현"
이인선 의원 "AI 치안시스템 안착 위해 예산·제도 꼼꼼히 챙길 것"

국회의원연구단체 국회 인공지능포럼(대표의원 이인선·연구책임의원 조승래)은 19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AI를 활용한 치안정책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를 성황리에 열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AI 기반 드론·영상분석·예측기술이 범죄예방과 재난 대응 현장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현황을 공유하고, 기술 변화에 발맞춘 치안정책 혁신 방향을 모색했다. 또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사회 구현 방안에 대해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세미나에는 국회 AI 포럼 이인선 대표의원을 비롯해 김도읍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을 비롯해 여야 19명의 국회의원과 치안 분야 전문가와 산업계 관계자 150여명이 자리해 높은 열기를 띄었다.

▷이치화 경찰청 AI정책계장 ▷박혜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방안전융합연구본부장 ▷박동균 대구한의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김희대 대구테크노파크 지능도시본부장이 발표를 맡아 미래 치안정책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치화 경찰청 AI정책계장은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범정부 거버넌스 구축, 데이터·인프라 통합, 윤리 지침 마련,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순찰드론 등 피지컬 AI 도입 등 5대 전략을 통해 경찰 조직 전반을 혁신하고 안전사회를 만들겠다"고 했다.

박혜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방안전융합연구본부장은 "로봇·드론 등 피지컬 AI가 센서와 결합해 현장에서 상황을 인지·판단·대응하는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다. 112·119 의사결정 지원과 멀티모달 위협탐지 등 성능 검증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치안 혁신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동균 대구 한의대학교 교수는 "AI를 활용하는 경찰이 그렇지 않은 경찰을 대체할 것이다. 범죄예측 기반 순찰·자원 배치, 드론을 활용한 농촌 치안, 군중밀집 조기경보 CCTV 등 현장에서 검증된 서비스를 확산하고, 지자체·대학·병원과 협력해 로컬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대 대구테크노파크 지능도시본부장은 "치안·돌봄 같은 공공서비스를 도시 단위에서 실증하고 산업화해야 한다. 단순 기술 적용을 넘어 시민 참여와 사용성 검증을 통해 체감 효과를 높이고, 민관 협력과 데이터 실증 플랫폼으로 치안산업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했다.

이인선 국회 AI 포럼 대표의원은 "우리나라는 치안과 공공안전 분야에 AI를 접목하기 위한 연구와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제는 이에 걸맞은 제도적 기반과 정책적 지원을 더욱 강화해야 할 시점"이라며 "AI 기반 드론·로봇 치안 시스템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예산 지원과 법·제도적 기반을 꼼꼼히 챙기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