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지난달 5일~지난 3일 소액결제 피해 527건으로 파악
"최소 8월 5일부터 이상 신호… KT 축소 시도로 피해 커져"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가 지난달 초부터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통신사 보안 위협이 증가한 데 따라 정부는 휴대전화 본인인증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5일부터 지난 3일까지 KT가 파악한 피해고객은 278명, 결제건수는 모두 527건이다. 일일 결제건수는 한 자릿수에서 지난달 21일 33건, 지난달 27일 106건 등으로 급증했다.
최초 피해는 이번 사건이 언론 보도로 알려지기 시작한 때보다 한 달가량 앞선 지난달 5일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면서 KT 대응에 대한 지적도 커지고 있다. KT는 지난 1일 수사기관으로부터 소액결제 피해 분석을 요청 받았으나 당시 일반적인 스미싱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즉각 대응하지 않았다고 해명한 바 있다.
황 의원은 "최소 8월 5일부터 이상 신호가 있었는데 KT의 축소·은폐 시도로 피해가 막대해졌다"면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즉각적인 전수 조사를 통해 피해 상황을 국민들께 소상히 보고하고 축소·은폐 행위를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휴대전화로 결제하는 과정에 필요한 본인인증 절차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휴대전화 본인인증에서 2차 인증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통신과금서비스 운영에 관한 고시'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휴대전화 소액결제는 이름·생년월일·성별 등 개인정보 입력과 자동응답전화(ARS), 문자메시지(SMS), 통신사 패스(PASS) 인증으로 이뤄지는데, 여기에 비밀번호, 지문·얼굴 등 생체 정보 등을 활용한 2차 인증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