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과제에도 담긴 '북극항로'…영일만항 물류·에너지 처리 중심지로

입력 2025-09-17 17:31:2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42회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42회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극항로 개척과 더불어 정부가 추진 중인 '거점항만' 전략에 경북 포항의 영일만신항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정부는 지난 16일 국무회의에서 국정과제 중 하나로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K-해양강국 건설'을 확정했다. 해양수산부는 ▷부산항 글로벌 거점항만 도약 ▷국가 해상수송력 20% 확충 ▷쇄빙 컨테이너선 등 신기술 확보 ▷친환경 선박 전환 지원 ▷'완전 자율운항선박' 개발 등 조선업 도약을 주요 골자로 한 북극항로 계획을 밝혔다.

북극항로는 북극해를 통해 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해상 항로다. 부산과 네덜란드 로테르담을 잇는 기존 인도양 항로(2만2천㎞)를 북극항로로 이용할 경우 1만4천㎞로 약 36%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송 기간도 10일이 줄어들면서 연료비도 30%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북극항로 개척 기회 선점을 통해 국가 해상수송력 확충과 수출입물류를 뒷받침하고, 글로벌 해양강국 지위 공고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적선사에 쇄빙선 건조 지원 및 상업항로화를 추진하고, 오는 2028년 유엔 해양총회를 개최해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컨테이너·LNG·원유 등 북극 화물별 거점항만을 지정해 글로벌 물류 허브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석유공사는 북극항로를 일반화물보다 '에너지 물류 항로'로 개발해야 경제성이 높다는 분석을 내놨다. 석유공사는 지난 1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북극항로가 우리 자원안보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를 열고, 북극항로 활용 전략을 제시했다.

김일태 석유공사 에너지인프라사업처장은 "북극항로는 일반화물보다 원유·가스 등 에너지 물류 중심으로 개발할 때 경쟁력이 크다"며 "석유공사가 종합에너지 물류 터미널로 추진 중인 울산 남항도 북극항로의 핵심 거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거점항만은 포항 영일만항과 부산항, 울산항 등 화물별로 특화된 인프라로 재편된다. 포항 영일만항은 철강, 물류·에너지 등 벌크화물 처리 중심지로, 울산항은 에너지 허브로, 부산항은 컨테이너 중심 동북아 물류거점으로, 여수·광양항은 LNG 허브로 조성한다는 내용이 국정과제에 담겼다.

영일만항은 깊은 수심과 환동해권 중심 입지로 LNG·원유 수송에 최적화돼 있으며, 포스코 등 대형 수요처가 인접해 안정적인 물동량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부산항이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고, 울산 남항이 에너지 거점으로 자리 잡는다면, 영일만항은 환동해권의 전략적 거점으로 기능하면서 대구·경북까지 아우르는 신(新) 해양수도권 구도가 완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 산업계 관계자는 "부산·울산·포항이 북극항로 3각 거점으로 연계된다면, 대한민국은 물류·에너지·조선·해운을 아우르는 K-해양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