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서구 주민들 "성서소각장 2·3호기 연장 사용 방침 홍보 제대로 안 돼"

입력 2025-09-10 17:50:3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최신식 시설 있어도 유해물질 유출…주민들에 유해정도 실시간 알려야"
대구시 "2030년부터 직매립 금지되는데…새 시설 짓는데 15년 걸려"

10일 오후 대구 달서구 이곡동 와룡배움터에서 성서소각장 2,3호기 관련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김지수 기자
10일 오후 대구 달서구 이곡동 와룡배움터에서 성서소각장 2,3호기 관련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김지수 기자

대구시의 성서 자원회수시설(이하 성서소각장) 연장 사용 방침과 관련해 주민들이 정책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을 비판하고 나섰다.

김정희 달서구의원은 10일 오후 달서구 이곡동 와룡배움터에서 전문가를 초청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성서소각장 2·3호기 연장에 따른 문제점을 주민 40여 명과 함께 논의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양원호 대구가톨릭대 보건안전학과 교수는 소각장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운영과 관리 방침에 대해 주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양 교수는 "아무리 최신식 대기오염 방지시설을 설치하더라도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은 전부 제거할 수 없다"며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이 법으로 정한 기준치보다 낮다고 하더라도 꾸준히 누적되면 건강에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그는 "기준을 지켰다고 해서 주민에게 영향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면서 "2·3호기 연장 사용이 불가피하다면 주민들이 언제든지 유해물질 배출 정도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돼야 하고, 원할 경우 소각시설 운영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언제든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사회시민단체와 주민들 역시 2·3호기 사용 연장에 대한 정책이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되지 못한 점을 한목소리로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조광현 대구경실련 사무처장은 "대구시가 1호기를 증설하면서 2·3호기는 사용하지 않겠다고 해놓고선 말이 바뀌었다. 단순히 성서소각장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기피시설에 대한 정책 추진이 이런 식으로 이뤄지는 점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한 달서구 주민은 "54만 달서구민들이 성서소각장이 어디 있는지도 모른다. 환경에 대한 정보들이 너무나 무지한 상태"라며 "유천동과 월성동에도 악취가 많이 날아오는데 달서구 갑 구의원들만 주민협의체에 들어가 있는 점도 문제"라고 짚었다.

이어 "환경에 대한 정보를 구의원 뿐 아니라 주민들이 알아야 한다. 대구시가 불투명하게 정책을 추진할 게 아니라 주민들에게 홍보하고 알리는 게 가장 급선무"고 했다.

대구시는 지난해 7월 내구연한이 지난 성서소각장 2·3호기를 연장 사용하는 방향으로 방침을 정하고 올해 6월부터 '성서 자원회수시설 2·3호기 대보수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 중이다.

시는 1998년부터 문제 없이 사용해온 소각장을 다른 곳으로 이전할 경우 예산 등 수반되는 사회적 비용이 커서 현재로서는 대보수를 통한 연장 사용이 최선이라는 입장이다. 아울러 오는 2030년부터는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된 상황에서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설을 폐쇄하기도 어렵다고 설명했다.

대구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시민 전체를 봤을 때 잘 쓰던 소각장을 이전하기엔 수많은 예산이 들어 어렵다"며 "대구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쓰레기 양이 평균 1천100톤이다. 5년 뒤부터는 직매립이 금지되니 모두 소각해야 하는데, 새로운 소각시설을 짓는데 10~15년까지 걸린다"고 말했다.

10일 오후 대구 달서구 이곡동 와룡배움터에서 성서소각장 2,3호기 관련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김지수 기자
10일 오후 대구 달서구 이곡동 와룡배움터에서 성서소각장 2,3호기 관련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김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