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메신저 예약 뒤 잠적…검거율 0.7% 그쳐
공공기관·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 등을 사칭해 벌이는 '노쇼형 사기 범죄'가 전국 광역단체 중 경북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전국 각 시·도 경찰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7월 말까지 전국에서 총 2천892건의 노쇼 사기 사건이 발생했다. 시·도별로 경기가 577건(피해액 7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284건(38억원), 서울 281건(33억원) 등 순이었다. 전체 피해 금액은 414억원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검거 건수는 22건(0.7%)에 그쳤다.
경북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경주, 포항, 안동 등지에서 노쇼형 사기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이들은 전화·메신저로 음식점에 예약을 하면서, 해당 가게가 취급하지 않는 품목을 대량 구매하도록 유도한 뒤 잠적하는 수법으로 범행을 저지르고 있다. 군부대·소방서를 비롯해 지자체 공무원을 사칭하는 범죄도 숙지지 않고 있다. 칠곡군은 최근 소속 공무원을 사칭해 금품을 요구하는 전화 사기로 군민이 2천500만원의 피해를 봤다고 밝혔다. 사기범은 '지원사업 물품비 결제'를 빌미로 피해자에게 접근한 뒤 군청 직인이 찍힌 위조 공문서와 가짜 명함 등을 제시해 피해자를 속인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6%에 이르는 등 상대적으로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것이 신종 수법인 노쇼형 사기 범죄 건수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노쇼형 사기 범죄 일당의 윗선은 주로 외국에 체류하고 있어 경찰은 검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에선 현금 인출책·통장 모집책 등을 검거하는 데 그치는 실정이다.
경찰은 검거한 인출책·모집책을 상대로 얻은 윗선의 신상 정보를 토대로 한 인터폴 수배, 국제 공조 수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이들이 극도의 보안을 유지하는 데다, 점조직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검거나 송환 등도 마땅치 않다.
경찰 관계자는 "인출책·모집책 등을 검거해서, 윗선에 대한 단서를 찾는 게 가장 큰 급선무"라며 "공공기관은 어떤 경우에도 금품 송금, 외상 거래를 요구하지 않는 만큼 의심스러울 경우엔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