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수련병원 전공의 총1만305명
수도권·비수도권 충원률 격차 벌어져
사직 전공의들이 이달 초 대거 복귀한 가운데 시도별 전공의 충원율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국 수련병원의 전공의는 모두 1만305명으로 수련병원별로 결정된 올해 전공의 정원(1만5천925명)의 64.7%에 해당한다. 기존 전공의 2천321명에 하반기 모집을 통해 돌아온 사직 전공의 등 7천984명을 더한 숫자다.
다만 지난해 2월 전공의 집단 사직 사태 전에도 일부 병원과 진료 과목은 정원을 다 채우지 못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사직 사태 이전의 전공의 수와 비교하면 76.2% 수준을 회복했다.

올해 정원 대비 전공의 충원율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서울의 경우 정원 7천261명 중 70.4%인 5천111명이 채워져 17개 시도 가운데 충원율이 가장 높았고 ▷광주(69.0%) ▷경기(64.5%) ▷울산(64.0%)이 뒤이었다.
반면 세종은 정원 9명 중 4명(44.4%)만 채워졌으며, 강원도 정원 468명의 절반을 조금 넘는 244명(52.1%)만 채워진 상태다. 대구는 1천154명 중 633명(54.9%), 경북은 61명 중 37명(60.7%)이었다.
의정 갈등 사태 이전에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전공의 충원율에 격차가 있었는데,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도 수도권에서 더 활발하게 이뤄진 탓에 격차가 더 벌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 시내 5대 대형병원인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이상 가나다순) 등 이른바 '빅5'의 전공의 숫자는 2천809명으로 늘어났다. 기존에 수련 중이던 629명에 이번 하반기 모집에서 선발된 2천180명이 더해진 것으로, 올해 정원(3천800명) 대비 73.9%다.
김선민 의원은 "전공의들이 복귀했지만, 예상했던 것처럼 서울 빅5 대형병원으로 쏠림과 지역 간 복귀율의 상당한 격차가 확인됐다"며 "의료체계를 온전히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지역·필수의료 강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