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은 정서·인지질환 연구그룹 김주현 선임연구원과 존스홉킨스 의대 Solange Brown 교수의 공동연구팀이 뇌 속 인지기능을 조절하는 대뇌피질 가장 아래 미지의 층을 규명했다고 2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L6b 신경세포를 다른 세포들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는 분자마커 표지법, 유전자변형 마우스를 활용하여 L6b의 구조와 기능을 밝혔다.
연구 결과, L6b 신경세포는 출생 초기의 SPN이 성인 시기까지 계속 살아남은 세포였으며, 성인 뇌에서도 다른 신경세포들과 신호 연결망을 유지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은 대뇌피질 최하부에 위치하면서도 최상부까지 신호를 전달하여 피질 전체의 신경망에 영향을 주는 독특한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성질은 대뇌 운동영역에서 감각영역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유지됐으며, 더 나아가 서로 다른 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인접 영역에도 신호를 보내 공감각적 정보 처리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기존의 대뇌피질 신경망 이해를 넘어서는 새로운 고등 인지 정보처리 모델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자폐증이나 정신분열 등 정신질환 환자의 사후 뇌조직에서SPN으로 추정되는 신경세포들의 수와 분포에 이상이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들이 있다"면서 "뇌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 그리고 정신질환에서의 신경망 변화 등을 이해하는 데 이번에 밝혀진 L6b 신경세포의 구조와 기능이 중요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