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도 높은 AI 모델로 분석…고산지대나 물부족 국가에서 활용↑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선진국에 비해 기반시설이 부족한 국가의 경우 15년을 주기로 악천후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음이 나왔다.
포스텍 감종훈 교수·박사과정 라자 하산 씨 연구팀은 중국 쑨얀센대와 함께 국제공동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예측해내고, 이를 대기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환경연구회보)'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미래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가뭄과 홍수 예측을 위해 고산지대가 많은 파키스탄에 주목했다.
파키스탄 중앙을 가르는 인더스강은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적설량 변화가 상당히 심한데다 관리를 위한 기반시설도 부족해 악천후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우선 감 교수 연구팀은 AI를 활용해 기존 기후모델이 평가하지 못한 파키스탄의 특성을 분석했다. 고산지대는 특성상 좁은 골짜기나 가파른 산맥 등 복잡한 지형이 많아 그간 강수량을 과대 추정하는 문제점이 많았다.
이어 연구팀은 과거 하천 유량 데이터를 실제 관측값과 비교한 뒤 여러 AI모델을 학습시켜 이상 기후 현상들의 예측도를 크게 높였다.
그 결과, 인더스강 상류에서는 약 15년마다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대홍수와 극심한 가뭄이 반복될 수 있으며, 주변 하천은 그 주기가 약 11년으로 더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종훈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AI 기술은 각 하천 유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등 앞으로 기후모델의 불확실성을 크게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기후변화에 취약하고 관측데이터가 부족한 고산지대나 물 부족 국가에서 신뢰할 수 있는 기후 데이터를 만드는데 도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尹·김건희 특혜'라며 막은 '단독 접견'…조국은 29회
최교진 "성적 떨어졌다고 우는 여학생 뺨 때린 적 있다"
'尹 속옷 버티기' CCTV 결국 봤다…尹측 "공개 망신"
무도회장 연상케 한 與 '한복행렬'…'상복'으로 맞선 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