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개 강의, 15개 대학 합류…도심캠퍼스 2학기 강의 본격 운영
도심 활성화와 대학 상생 모델 본격화
대구 도심 한가운데서 펼쳐지는 강의가 대학 울타리를 넘어섰다. 도심캠퍼스를 통해 학생에게는 배움의 기회를, 도심에는 활력을 불어넣는다.
대구시는 도심 활성화를 선도하는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핵심사업인 전국 최초 지역-대학 상생 모델 '도심캠퍼스' 2학기 강의를 본격 확대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시범사업과 올해 1학기 수업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한 대구시는 이번 학기에 양질의 교과 수업으로 확장된 도심캠퍼스를 개강했다. 2학기 도심캠퍼스에선 지난해 12월 공개모집으로 선정된 31개 강의와 신규 개설 7개 강의 등 총 38개 강의가 운영된다.
특히 당초 업무협약에만 참여했던 영남대와 경일대가 첫 강의를 개설하면서 협약대학인 대구·경산권 15개 대학이 모두 합류하게 됐다. 도심캠퍼스는 지난해 56개 과정 11개 교과과목에서 올해 57개 과정 41개 교과과목으로 확대됐으며, 학점인정 강의 비율도 70%까지 높아졌다.
대표 강의인 '대구경북지역학'은 역사·문화·산업 분야 전문가 특강과 현장학습을 통해 지역 이해를 넓히는 인기 강좌로 자리매김했다. 강의는 도심캠퍼스 1·2호관과 지역대학협력센터에서 진행되며, 청년·상인·지자체가 함께하는 '리빙랩'을 운영해 상권 활성화 아이디어 발굴과 현장 문제 해결에도 나선다.
1호관에선 ▷한국문화와 대구지역이해(경북대) ▷로컬크리에이터 창업사례연구(계명대) ▷캐릭터비즈니스(영진전문대) 등이, 2호관에서는 ▷외식창업 시뮬레이션 실습(대구과학대) ▷미술의 이해(대구보건대) ▷SMART 뷰티케어(대구한의대) 강의가 열린다.
또한 지역대학협력센터에서는 ▷ABB융합 로컬크리에이터 양성(수성대) ▷취·창업 실무연계 프로젝트(경일대) 등 현장 기반 강의가 진행된다.
시는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2025 대구·경북 대학페스타'를 통해 도심캠퍼스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행사에선 17개 대학이 참여하는 대학별 대항전과 댄스·가요제가 열려 학생과 시민, 상인이 함께하는 축제의 장이 마련된다.
이은아 대구시 대학정책국장은 "도심 속 대학 강의는 학생들에게는 특별한 학습 경험을, 도심에는 새로운 활력과 변화를 선사할 것"이라며 "지역과 대학이 함께 만들어가는 변화를 통해 배움과 소비, 문화가 공존하는 열린 캠퍼스를 실현하고, 도심 속 노후 공간의 교육 서비스 확장으로 전국적인 상생 모델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