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그림책으로" 경북대, 노인 맞춤형 AI 치유 프로그램 진행

입력 2025-09-02 08:41:00

경북대, 'AI 기반 생애사 프로그램' 임상연구 성과
복지관 어르신 맞춤형 생애사 그림책 전달
고령층 자존감 회복과 정신건강 기여 기대

경북대 인문카운슬링센터의 두류은빛복지관 생애사 프로그램 수료식. 경북대 제공
경북대 인문카운슬링센터의 두류은빛복지관 생애사 프로그램 수료식. 경북대 제공
경북대 인문카운슬링센터의 달서구노인종합복지관 생애사 프로그램 수료식. 경북대 제공
경북대 인문카운슬링센터의 달서구노인종합복지관 생애사 프로그램 수료식. 경북대 제공

경북대학교는 전승화 교수팀이 개발 중인 'AI 기반 생애사 프로그램'을 대구 지역 노인복지시설에서 실제 임상연구로 진행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달 26일 달서구노인종합복지관(관장 김진홍)과 두류은빛복지관(관장 김진홍)에서 'AI 기반 생애사 프로그램' 2차 임상연구 수료식을 열고, 참여 어르신들에게 개별 생애사 그림책을 전달했다.

이번 연구는 2024년 한국연구재단 글로벌인문사회융합연구 지원사업에 선정돼 추진 중인 과제로, 단순 회상을 넘어 어르신 개개인의 삶을 기록하고 이를 생성형 AI를 통해 그림책으로 제작하는 창작형 치유 프로젝트다.

연구책임자는 경북대 인문학술원 인문카운슬링센터 부센터장 전승화 교수이며, 성희자 교수(경북대), 이영의 교수(동국대), 오동석 교수(경북대), 허윤아 교수(고려대), 이미란 교수(대구대), 김정완 교수(대구대) 등이 참여했다. 임상연구는 김진홍 관장과 이영희 원장의 협조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효림주간보호센터(원장 이영희)에서 1차 임상연구를 마쳤고, 이어 6월부터 진행한 2차 임상연구로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했다.

효림주간보호센터 참여 어르신들은 자신의 삶이 책으로 재구성된 것을 보고 눈물을 흘리거나 "존중받는 느낌이었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복지관 어르신들 또한 감사편지를 전하는 등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번 프로그램이 고령층의 자존감 회복, 삶의 의미 재발견, 미래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생체신호 분석을 통한 정량적 검증도 병행하고 있다.

전승화 교수는 "이번 프로그램은 학제 간 협업을 통해 고령사회에 대응할 한국형 노인복지 모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 사회의 노인복지와 정신건강 정책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