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특수'에 편의점 웃었다"

입력 2025-08-27 11:46:42

산업부 '7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 발표

정부의
정부의 '민생 회복 소비쿠폰'의 사용으로 소비 심리 및 소상공인 매출이 상승한 가운데 26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매장에 소비쿠폰 안내문이 붙어 있다. 26일 한국신용데이터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배포가 시작되고 4주(7월 21일∼8월 17일) 즉, 한 달 동안 전국 소상공인 평균 카드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6.44% 늘었다. 더불어 한국은행이 전날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11.4로 7월(110.8)보다 0.6포인트(p) 오르며 소비·수출 호조에 소비자들의 경제 심리가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수 절대 수준은 2018년 1월 이후 7년 7개월 만에 가장 높다. 연합뉴스

지난달 전국 편의점 매출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 영향으로 4개월 만에 증가했다. 반면 소비쿠폰 사용 대상에서 제외된 대형마트는 2.4% 감소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7일 발표한 '2025년 7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주요 23개(오프라인 13곳·온라인 10곳) 유통업체의 매출(이하 금액 기준)은 모두 16조1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9.1% 증가했다. 온라인 매출은 15.3%, 오프라인은 2.7% 각각 늘었다.

하지만 업태별로는 희비가 엇갈렸다. 우선 오프라인 기준 편의점 매출은 3.9% 증가했다. 산업부는 "이른 무더위와 소비쿠폰 사용 등으로 소비자의 편의점 방문(구매 건수)이 늘어 매출이 지난 3월 이후 4개월 만에 증가세(전년 동월 대비)로 돌아섰다"고 설명했다.

역시 오프라인 기준으로 백화점(5.1%)과 기업형슈퍼마켓(SSM·1.8%) 매출도 지난해 7월보다 늘었다.

산업부는 "백화점은 명품과 식품군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지속했고 잡화류를 제외한 모든 품목이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며 "특히 그동안 지속적으로 부진했던 의류 및 아동·스포츠 부문이 판촉 강화로 증가세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반면 소비쿠폰 사용처가 아닌 대형마트의 지난달 매출은 1년 전 같은 달보다 2.4% 감소했다. 소비자의 온라인 이전 가속화 등으로 대형마트의 방문객과 구매단가가 모두 줄었다는 것이 산업부의 설명이다. 올 들어 대형마트 매출은 1월(16.1%↑)과 5월(0.2%↑)을 제외하고 모두 감소세를 나타냈다.

온라인 매출은 소비자의 인터넷 쇼핑 확대와 업계 판촉 경쟁 강화, 음식 배달 등 서비스 부문 확대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지난달 주요 유통업체 매출에서 온라인이 차지한 비중은 54.3%로 지난해 7월보다 2.9%포인트 상승했다. 상품군별 동향을 보면 오프라인은 식품(2.7%) 서비스·기타(4.4%) 외국 유명 브랜드(11.3%)를 중심으로, 온라인은 음식 배달·e-쿠폰·여행 상품 등이 포함된 서비스(24.9%) 식품(24.2%) 등을 위주로 매출이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