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지급 이후 소상공인 매출 6% 증가 "소비심리 개선"

입력 2025-08-26 11:07:02

쿠폰 배포 후 4주간 소상공인 카드 매출 6.44% ↑
연 매출 30억원 이상 사업장도 매출 1.10% 증가

정부의 민생 회복 소비쿠폰 발행 한 달이 지난 가운데 24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 쿠폰 홍보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지난 5∼7일 전국상인연합회와 손잡고 골목상권과 전통시장 소상공인 2천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8%가 소비쿠폰 지급 이후 사업장에서 매출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정부의 민생 회복 소비쿠폰 발행 한 달이 지난 가운데 24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 쿠폰 홍보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지난 5∼7일 전국상인연합회와 손잡고 골목상권과 전통시장 소상공인 2천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8%가 소비쿠폰 지급 이후 사업장에서 매출이 증가했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풀리고 한 달간 소상공인 매출이 지난해 대비 6.4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심리가 점차 개선되면서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는 연 매출 30억원 이상 매장에서도 매출 증가세가 나타났다.

26일 한국신용데이터(KCD)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배포가 시작되고 4주(7월 21일∼8월 17일) 동안 전국 소상공인 평균 카드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44% 증가했다. 이는 KCD가 전국 소상공인 사업장 32만9천154곳의 카드 매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카드 매출액 증가 폭을 주차 별로 보면 소비쿠폰 배포 첫 주에는 7.27%, 둘째 주에는 10.13% 뛰었고, 셋째 주는 6.96%, 넷째 주는 1.21% 올라 증가세가 둔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강예원 KCD 데이터 총괄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시행 4주 차까지 전국적으로 소상공인 매출을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연 매출 30억원 이하 소규모 매장에서 뚜렷한 효과가 확인됐다"고 진단했다.

소비쿠폰 배포 이후 4주간 연 매출 30억원 미만 소상공인 매장 매출이 약 6.89% 늘었고, 연 매출 30억원 이상 매장에서도 1.10% 증가했다.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는 연 매출 30억원 이상 매장에서는 매출이 줄 것이란 우려와 달리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업종별 추이를 살펴 보면 소비쿠폰으로 인한 매출 증가 효과가 가장 큰 업종은 유통업(16.47%)으로 나타났다. 유통업 세부 업종 중에선 안경원 매출이 1년 전보다 43.95% 치솟았고, 패션·의류·잡화(33.16%), 완구·장난감(32.74%), 전자담배(31.30%), 화장품(30.11%) 등도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외식업(3.51%)과 서비스업(4.73%)도 1년 전보다 매출이 늘었다. 외식업 중에는 피자 전문점(18.78%), 국수 전문점(18.59%), 배달음식 전문점(14.15%) 등 소규모 외식 업종의 매출 증가율이 높은 편이었다. 서비스업 중에는 네일숍(29.35%), 비뇨기과(25.22%), 가정의학과(20.08%) 등에서 매출 상승이 두드러졌다.

KCD 관계자는 "고령화와 자기 관리 트렌드가 맞물리면서 의료서비스와 꾸밈 매출이 많이 증가했다"면서 "소비쿠폰을 계기로 상대적으로 고가인 필수 내구재나 자기만족형 소비가 활발히 이뤄진 결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