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기술이 만난 자리' 대구보건대, 바이오헬스 미래를 그리다

입력 2025-08-25 08:17:47

대구보건대, 바이오헬스 맞춤형 ESG 교육모델 구축 논의
ESG 교육 콘텐츠 공동 개발 합의

21일 대구보건대 연마관 304호에서 대구보건대학교 신산업STAR사업단이 주관한
21일 대구보건대 연마관 304호에서 대구보건대학교 신산업STAR사업단이 주관한 'STAR PLUS ESG 알파 거버넌스 구축 간담회'를 마치고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구보건대 제공

윤리와 기술이 만나는 접점에서 새로운 교육모델이 논의됐다. 대구보건대가 마련한 간담회에서 바이오헬스 산업에 맞는 ESG 교육 방안이 공유됐다. 참여 대학들은 온라인 콘텐츠 제작과 실습 확대를 약속했다.

대구보건대학교(총장 남성희)는 21일 연마관 304호에서 'STAR PLUS ESG α(알파) 거버넌스 구축' 간담회를 열고 바이오헬스 분야에 적합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교육모델과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 2.0'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대구보건대 임상병리학과 교수진과 대전보건대, 광주보건대, 충북보건과학대, 경운대, 혜전대 교수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이달 내 완성을 목표로 하는 'ESG 교육용 온라인 콘텐츠'를 공동 제작하기로 합의했다. 콘텐츠는 ESG 개론, 바이오헬스 적용 사례, 실습 자료 등 모듈화 형태로 개발되며, 완성 후 참여 대학 간 공유를 통해 교육 자원의 활용도를 높일 예정이다.

또한 참석자들은 ▷연구개발 단계의 환경 영향 최소화 ▷임상시험 과정의 투명성 ▷의료데이터 관리 및 개인정보 보호 등 바이오헬스 산업의 핵심 ESG 과제를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특히 프로젝트 기반 수업과 산학협력형 실습을 확대해 학생들의 실질적인 ESG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안승주 신산업STAR사업단장(임상병리학과 교수)은 "바이오헬스 산업은 기술 발전과 함께 윤리적 책임과 사회적 신뢰가 요구된다"며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실용적인 ESG 교육모델과 콘텐츠 확산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보건대 신산업STAR사업단은 교육부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 2.0'에 선정돼, 차세대 맞춤형 헬스케어를 선도할 STAR(Smart Technology, Advanced diagnostic Revolution)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