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위안부·강제징용 합의 안 뒤집겠다, 과거사 보다 미래로 협력"

입력 2025-08-21 17:06:33 수정 2025-08-21 19:09:44

23일 한일 정상회담 앞두고 日언론 인터뷰 "국가간 약속 지켜야"
양국 협력 분야 넓히며 미래지향적 관계 강화 의지 밝혀

21일 경기도 광주시 나눔의 집에 고인이 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취임 후 첫 일본 방문을 앞둔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언론과 인터뷰를 갖고 과거 위안부 합의, 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
21일 경기도 광주시 나눔의 집에 고인이 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취임 후 첫 일본 방문을 앞둔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언론과 인터뷰를 갖고 과거 위안부 합의, 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 "국가로서 약속이므로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21일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에서 "한국 국민으로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전 정권의 합의"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정책 일관성과 국가의 대외 신뢰를 생각하는 한편 국민과 피해자·유족 입장도 진지하게 생각하는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열리는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박근혜·윤석열 정부가 일본과 맺은 위안부·강제징용 합의를 존중할 것'이라고 약속하면서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전향적이고 성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 대통령은 21일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인터뷰에서 "한국 국민으로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전 정권의 합의"라면서도 "국가로서 약속이므로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혜 정부의 2015년 위안부 문제 합의와 윤석열 정부의 2023년 강제징용 제3자 변제안 등을 수용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다만 이 대통령은 "(과거사 문제는) 경제적 문제이기 전에 감정의 문제이므로 진심으로 위로의 말을 건네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 회복과 마음의 상처 치유라는 기본 정신을 함께 존중하는 동시에 피해자의 온전한 명예 회복을 위한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해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인도적·감정적 차원에서 일본 정부의 성의 있는 자세가 문제해결의 핵심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대통령은 "배상의 문제는 오히려 부수적일 수 있다"면서 "'해원'(解寃)이라는 말처럼 원한 같은 것을 푸는 과정으로 가야 한다"고 해결 방향을 제안하기도 했다.

특히 양국이 과거사 문제에 너무 매몰돼서는 안 된다고 진단하고 서로 존중하면서 두 나라에 도움 되는 일은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은 한국에 매우 중요한 존재이고 한국도 일본에 유익한 존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양측에 이익이 되는 길을 발굴해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넓혀 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이 대통령은 양국 정상이 정례적으로 상대국을 오가는 '셔틀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일본 총리도 시간이 허락할 때 한국을 찾고 수시로 왕래하는 등 실질적 협력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의욕을 보이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에서 한일관계를 포함한 우리 정부의 동북아시아 전략 전반에 대한 입장을 설명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 핵문제를 점진적으로 해결해 가면서 한미일 3국 동맹 강화를 통해 한반도 정세의 안정을 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편 한국 대통령의 일본 방문은 지난 2023년 5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히로시마를 방문한 이후 약 2년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