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웨스팅하우스 합작 투자 협약 가능성 거론
'원전 300개 늘리겠다'는 트럼프…원전 협력 '제2 마스가' 되나
민주당은 '체코 원전 불공정 합의 논란' 국정조사 거론
25일 개최 예정한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 원자력발전 분야의 미국 시장 진출과 관련한 협약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조선 분야에 이은 '제2의 마스가(MASGA)' 프로젝트가 탄생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국내 원전 운영을 맡고 있는 한국수력원자력과 미국 원전 업체인 웨스팅하우스(WEC)가 합작 투자를 통해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체코 원전 수주와 관련해 한수원·한국전력 측이 WEC와 불공정 합의를 했다는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반론도 거세지고 있다.
20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수원이 미국 원전 시장에 뛰어들 수 있는 협약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시공 능력을 사실상 상실한 WEC가 시공 능력을 보유한 한수원과 손을 잡고 신규 원전 수주에 나설 것이란 얘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미 원전을 300기 늘리겠다는 행정명령을 내리는 등 원전 업계 활성화에 힘을 싣고 있다. 한미 원전 기업의 합작으로 미국에서 새로운 원전 일감을 따내는 모습을 기대하게 하는 대목이다.
이같은 사안은 최근 불공정 논란을 빚고 있는 체코 원전 수주 과정에서 한수원과 WEC 간 합의에 포함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합의가 체코 원전 수주를 위한 굴욕적 졸속 합의가 아니라 상호 간 실리를 챙긴 '윈윈(win-win)' 거래였다는 평가도 가능한 셈이다.
원전 업계와 정치권에선 지난 1월 한수원·한전·WEC 간 합의문에 한수원 측이 향후 50년간 원전 수출 시 WEC 측에 1기당 9천억원대 물품·용역 구매 계약과 2천400억여원의 로열티를 제공하기로 돼 있다는 의혹이 최근 불거져 파장이 일고 있다.
합의문에는 한국 측 원전 수주 대상국을 제약하며 북미, 체코를 제외한 유럽연합(EU) 가입국, 영국, 일본, 우크라이나 시장 등에는 WEC만 진출할 수 있다고 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를 두고 여권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매국적 합의'라고 비판하며 거센 공세를 벌이고 있다. 대통령실은 진상 파악을 지시했고 더불어민주당은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는 입장도 내놓고 있다. 반면 야당 일각에선 한수원·WEC가 그간 한국 원자력의 미국 진출 방안을 수년간 꾸준히 논의해온 점을 거론하며 '지난 정부의 노력을 지우려해선 안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