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관문' 동대구역서 단속 비웃는 흡연자들…단속 인력 2명 뿐

입력 2025-08-20 16:20:47 수정 2025-08-21 20:22:29

동대구역 흡연 단속 2023년 92건→지난해 132건 폭증
단속 인력 2명 뿐…대책 마련 절실

20일 방문한 동대구역 곳곳에는 금연구역임을 알리는 스티커와 팻말, 현수막이 붙어 있었으나, 금연구역에서 흡연하는 이들과 바닥에 떨어진 담배꽁초를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었다. 김지효 기자
20일 방문한 동대구역 곳곳에는 금연구역임을 알리는 스티커와 팻말, 현수막이 붙어 있었으나, 금연구역에서 흡연하는 이들과 바닥에 떨어진 담배꽁초를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었다. 김지효 기자

대구의 관문인 동대구역 앞 광장의 흡연 단속 건수가 지난해 오히려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금연 단속 인원이 턱없이 모자란 상황에서 인력 보충 뿐 아니라 인식 개선 등 다각도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방문한 동대구역 곳곳에는 금연구역임을 알리는 스티커와 팻말, 현수막이 붙어 있었다. 신세계 백화점으로 들어가는 입구와 마주 본 역사 2번 출구 쪽에는 스피커가 설치돼 사람이 지나다닐 때마다 금연구역을 알리는 음성이 반복해서 흘러나왔다.

하지만 이날 흡연자들은 이 같은 안내를 비웃기라도 하듯 곳곳에서 버젓이 담배를 꺼내물었다. 2번 출구 앞에는 흡연부스가 별도로 마련돼 있었지만 부스가 아닌 곳의 흡연자가 훨씬 많아 보였다.

동구보건소에 따르면 동대구역 흡연 단속건수는 2023년 92건에서 지난해 132건으로 늘었다. 올해도 지난달까지 78건이 단속돼 세자릿수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단속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는 인력 부족이 꼽힌다. 동구청에 따르면 금연 단속이 가능한 인원은 공무원 2명이 전부다. 지도점검과 계도활동을 할 수 있는 위촉지도원이 8명 있지만 이들은 단속 권한이 없어 과태료를 부과할 수 없다.

반면 이들이 단속과 지도점검을 해야 하는 금연구역은 동구 내 765곳이다. 의료기관과 어린이집 등 국민건강증진법상 구역 1만613곳까지 더하면 사실상 제대로 된 단속이 불가능한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인력 보강 외에도 담뱃값 인상과 환경 및 인식 개선 등 다각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황준현 대구가톨릭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는 "단속의 경우 상주 인원이 있지 않는 이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인력 보충 외에도 과태료 부과와 담뱃값 인상, 환경 개선 사업 등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동구보건소 관계자는 "동대구역 등 민원이 많이 들어오는 곳을 위주로 연간 80% 정도를 지도점검하고 있고, 당해에 점검하지 못한 금연구역은 다음 연도에 우선해서 돌아보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기존 4명이던 금연지도원을 올해 8명으로 늘렸으나, 지도원은 금연사업 지침상 단속 권한이 없어 한계가 명확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