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30% 등 올해 전국 건축착공 면적 전년 대비 21% 감소해

입력 2025-08-20 16:26:14 수정 2025-08-20 21:08:42

대구 한 건설 현장 근로자가 햇볕을 막아주는 파라솔 아래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 한 건설 현장 근로자가 햇볕을 막아주는 파라솔 아래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전국적으로 착공하는 건축 착공 면적이 지난해보다 5분의 1가량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 지역도 착공 면적이 30%가량 감소하는 등 건설 경기는 물론 경제 전반에 걸친 악영향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20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국토교통부 통계를 분석한 자료를 살펴보면 올해 5월 누적기준 건축 착공 면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줄었다.

착공 면적이 늘어난 지역은 울산(18%), 서울(9%), 충남(1%) 등이다. 이에 반해 광주(79%), 경북(56%), 전남(52%), 제주(51%)가 착공 면적이 50% 이상 쪼그라들었다. 아울러 인천(47%)과 강원(41%), 대전(35%), 대구(30%) 등 대도시들도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전국 건축 착공 면적은 지난 2021년 전국적으로 1억3천529만9천㎡ 규모로 이뤄진 뒤 줄고 있다. 연도별로 착공 면적 변화율을 보면 ▷2022년 18.1% 감소 ▷2023년 31.7% 감소 ▷2024년 18.6% 증가 ▷2025년 5월까지 21% 감소했다.

착공은 건설 공사에서 실질적 사업 시작의 의미를 갖고 있어 건설 경기를 판단할 수 있는 선행 지표와 동행 지표로 분석된다. 즉, 건축 착공 면적에 따라 건설 경기가 어떤지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인 셈이다.

착공 면적 감소는 지역 경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건설업은 전후방 효과가 워낙 큰 산업이다 보니 사업 규모 축소 시 지역 내 건설 자재, 고용, 장비 임대 등 관련 산업이 직격탄을 맞게 된다.

이 같은 건설 경기 부진을 막기 위해 최근 정부는 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한 주택 구입 시 세금 부담 완화와 임대주택 세제 지원 등을 골자로 한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을 내놨다.

이에 업계에선 일부 지역에 대한 세제 지원은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전체 지방 확대 등 보완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 건설 경기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장은 "착공 물량이 크게 줄어드는 경우 기존의 경제 선순환 구조가 위태로울 수 있다"며 "착공 물량 변화가 큰 지역에 대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나서 선순환 구조를 이어갈 수 있는 울타리를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특히, 착공 물량이 크게 감소한 지역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가 재정 투입을 신속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