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러 정상회담, 쾌재 부르는 러시아
미·러 정상의 '알래스카 회담'이 무소득으로 끝났다는 혹평에도 러시아는 뒤에서 웃고 있다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미국의 경제 제재 위협 등 압박감이 팽배했던 회담 전 분위기와 사뭇 다르다. 미국과 대화와 협력 복원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는 낙관론도 나오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알래스카에서 약 3시간 동안 회담을 가졌다. 결과는 기대와 달랐다. 핵심 의제였던 러시아-우크라이나전 휴전에 관해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답안지만 내놓은 탓이다. 다만 회담에 임했던 미국과 러시아 두 나라만은 회담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했다. 다음 회담을 모스크바에서 갖자는 푸틴 대통령의 제안도 있었다.
회담 결과와 관련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16일 "러시아와 미국의 최고위급 회담을 위한 메커니즘이 완전히 복원됐다. 차분하게, 최후통첩이나 위협 없이"라고 자신의 텔레그램을 통해 평가했다. 러시아가 기존의 입장 변화나 공세 약화 없이도 미국과 대화를 이어갈 수 있다는 신호를 확신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러시아 내부에서는 알래스카 회담을 기점으로 미국과 관계가 복원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다. 레오니트 슬루츠키 러시아 하원(국가두마) 국제문제위원장은 텔레그램에 "알래스카 회담은 역사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향후 양국 대화의 완전한 복원을 위한 여러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나탈리아 츠베트코바 러시아과학아카데미 미국캐나다연구소 임시소장은 "두 정상이 제재와 해제 문제를 다뤘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모스크바에 온다면 경제 협력의 성과는 이미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두 정상이 다음 회담에서는 북극 문제와 군축 문제를 논의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러시아 내부에서는 장밋빛 전망이 쏟아지고 있지만 유럽 등 서방사회는 이번 회담이 무용했다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휴전과 관련된 언급은 일절 없고 푸틴 대통령에게 국제적 고립을 탈피할 기회만 준 꼴이라는 지적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다큐3일 10년 전 '안동역 약속' 지키려 모였는데… 갑작스러운 폭발물 신고에 긴장
李대통령 "난 충직한 일꾼…오직 국민만 믿고 직진"
"함께 보실 분"…李대통령, 내일 영화 '독립군' 국민 동반 관람
'사면' 윤미향 "할머니들 잊지 않겠다, 위안부 문제 원칙 세우고 길이 되어줘"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