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군자치구의회의장협의회 소속 의장 9명이 지난달 경북 영덕에서 가진 1박 2일 워크숍에 1천500만원이 넘는 예산을 지출한 것으로 알려져 시민들의 눈총이 따갑다. 이들과 동행한 업무 담당자 9명까지 합쳐도 1인당 100만원에 육박하는 액수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예산을 사용하고도 제대로 된 지출 내역(內譯)dmf 모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시민 세금으로 경비를 지출하면서도 용역업체에 다 맡긴 탓에 어디에 얼마를 썼는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퍼스널 컬러 진단' '재선을 위한 스마트 전략' 등 워크숍 주제가 해당 협의회 워크숍의 성격에 맞는지도 논란이다.
여기에다 의장협의회 연간 운영 경비(經費)도 1억원 가까이나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금으로 마련된 예산인데도 어디에 사용했는지, 무슨 회의를 몇 번 했는지, 그 내용은 뭔지 등 알려진 게 없다. 특히 지난 2022년 5천만원 수준이던 운영 예산이 올해 8천900만원으로 껑충 뛰었는데 인상 이유나 배경도 모른다. 시민들이 알 길 없다고 예산을 대폭 올리고 마구 사용하는 건 아닌지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
의회는 지자체의 재정 운영을 감시하는 기관이다. 예산의 편성·집행·결산을 심의·의결하고 주민의 세금이 투명하게 사용되는지 감독하는 곳이다. 자자체 사업의 실효성·적절성을 살피고 제대로 집행했는지 감찰(監察)하는 등 지방행정을 감시·감독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의장은 누구보다 원칙과 절차를 지키고 투명성을 중요시해야 한다. 그런데 의회 의장들이 모인 협의회에서 이렇게 깜깜이·주먹구구식으로 예산을 책정하고 인상하고 사용하면 지자체에 영(令)이 서겠는가. 자신들은 이렇게 시민 세금을 사용하면서도 지출 내역조차 모르고 공개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지자체를 제대로 감시하고 감독할 수 있겠는가.
의장협의회는 이번 워크숍 예산 사용 내역은 물론 행사 기간 중 뭘 했는지 일정도 공개해야 한다. 아울러 협의회 회의록과 예산 지출 내역, 회의 횟수 및 내용, 협의회 성과도 공개해 시민들의 의구심을 해소(解消)시켜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