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100 최적지 '경북'…풍부한 에너지 강점, 강력한 경쟁지 부담

입력 2025-08-13 17:18:38 수정 2025-08-13 20:21:52

동해안·백두대간 주요 자양분…대규모 전력 수요 기반도 갖춰
호남 정치권, RE100 산단 유치에 속도

구미산단 자화전자 지붕에 구미시의
구미산단 자화전자 지붕에 구미시의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사업으로 진행된 태양광 패널이 설치돼 있다. 구미시 제공

RE100 산단으로 지정되면 침체기를 겪고 있는 포항 철강산단, 구미국가산단 등에게도 큰 호재로 이어질 수 있다.

◆에너지 생산 1번지

전력 자립률(215.6%, 2023년 기준)이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경북은 연간 생산하는 에너지 발전량이 94.7테라와트시(TWh·전국의 16.1%), 발전설비용량 17.3GW(전국의 12%)에 달하는 '에너지 생산 1번지'다.

이 중 원자력 발전의 비중이 가장 높지만, 청정에너지 자원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경북에서 생산되는 풍력 발전량은 0.9TWh, 태양광 발전량은 4.2TWh인데 이는 각각 전국 생산량의 30%, 15%에 달한다. 평균 풍속 6~9m/s, 연안 수심 200m 이상 등 동해안과 백두대간은 경북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RE100 거점단지로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자양분이기도 하다.

경북은 포항·구미 등을 중심으로 이차전지, 반도체, 철강 등 대규모 전력 수요 산업기반을 갖추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해당 산업의 중심지이지만, 산단이 조성된 지 수십 년 이상 경과되면서 RE100으로의 전환 수요가 높다. 또 동해 연안을 활용한 해상 풍력, 내륙 태양광 확충 등 가능성도 풍부하다. 내륙 지역에선 수상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보급도 차근차근 이뤄지고 있는 점은 경북의 강점이다.

지역 산단을 중심으로 RE100이 실현되면 산업구조 고도화와 첨단 기업 유치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현 정부가 친환경에너지 보급 등 그린뉴딜·탄소중립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와 연계한 시너지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남, 강력한 경쟁 지역

과제 또한 적지 않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호남을 찾아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산업 구조 재편을 공약한 바 있다. 호남 정치권도 새 정부 출범 이후 지난 2개월 간 정부·여당을 향해 신재생 에너지 허브 구축과 같은 RE100 산단 조성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는 점도 경북 입장에선 적지 않은 부담이다.

경쟁자들은 저마다 강점을 내세워 RE100 산단 유치에 앞서가고 있다. 새만금은 약 290㎢부지에 3GW 규모의 대규모 태양광·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추진 중이기 때문에 RE100 전력 공급 인프라 구축 속도가 빠르다. 민·관 합작 모델인 만큼 행·재정 지원도 빠르다. 정부차원의 지원 또한 부담이다. 여권 인사로 분류되는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은 지난 7일 취임 3주 기자간담회를 통해 "새만금이 RE100 산단 최적지"라고 밝히기도 했다.

세계 최대 해상풍력(8.2GW) 단지를 계획 중인 서남권은 전남도가 자체적으로 RE100 전용 산단 조성도 추진 중인 상황이다. 조선·해양플랜트 등 풍부한 산업기반을 갖춘 울산의 경우엔 부유식 해상풍력(6GW) 중심의 청정에너지 허브 전략을 추진하는 데다, 동해가스전 부지 재활용과 수소·암모니아 혼소 발전 등을 통한 기업 유치 등에 강점을 내세우고 있다.

이들은 정부 지원금, 대기업 컨소시엄, 전력망 확충 계획이 이미 선제적으로 가동되고 있어 경북보다 사업 리스크가 낮아 보이는 환경을 갖춘 것도 경북 입장에선 부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