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1번지' 경북, 李정부 추진 RE100 산단 최적지

입력 2025-08-13 17:28:26 수정 2025-08-13 23:32:48

철강·제조업 집적, 전력 수요↑…풍력·태양광 생산 잠재력 갖춰
수요 연계 모델 구축 발판 마련

경주 풍력발전단지(경주시 문무대왕면). 경주시 제공
경주 풍력발전단지(경주시 문무대왕면). 경주시 제공

이재명 정부가 RE100 산업단지 조성을 국정 과제 중 하나로 추진하면서, '국내 에너지 생산 1번지'인 경북이 주목받고 있다. 포항·구미를 중심으로 산업기반을 갖춘 경북은 동해 연안 풍력과 내륙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잠재력을 갖췄다.

13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오는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친환경에너지(태양광·풍력 등)로 조달하는 캠페인인 RE100은 구글·애플·BMW 등 전 세계 445개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선 2021년부터 전국 862개 기업(경북 99개 기업 등)이 '한국형 RE100'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은 철강·제철·제조업 집적지로 전력 수요가 큰 데다, 기업들의 RE100 전환요구도 높아 수요 연계형 산단 모델 구축이 가능하다. 또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보급, 탄소중립 계획 등도 추진 중이기 때문에 초기 인프라 비용 절감과 함께 주민 수용성 측면에서도 강점이 있다. 무엇보다 동해연안·백두대간을 활용한 풍력·태양광 발전을 통해 '지산지소(地産地消, 지역에서 생산된 전기를 지역에서 소비)' 모델 구축도 가능하다.

경북도는 지난 대선 기간 영덕 인근에 1.9GW 규모의 육·해상 풍력 발전 설치(총사업비 17조원 추정) 등의 내용을 담은 '동해 그린에너지 프로젝트'를 지역공약 사업으로 건의하는 등 지역 에너지 자원을 활용한 RE100 추진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경북 동해안은 풍부한 풍황 자원과, 해양 환경 등 우수한 자연조건을 보유하고 있어 RE100 산단 조성이 추진될 경우엔 최적지다. 앞으로 정부의 정책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대비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