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지 유출 사건, '공개 회의'로 신속·투명 대응
학생 안전 위해 현장에서 답 찾다
이주 아동 교육권 보장 촉구
지난 7월 4일 경북 안동의 한 사립고에서 기간제 교사와 학부모가 시험지를 훔치려다 미수에 그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 조사 결과, 시험지 유출은 10여 차례 반복됐으며, 피의자의 딸은 입학 이후 3년 내내 전교 1등을 유지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사건 보고를 받은 박채아 경북도의회 교육위원장(경산·국민의힘)은 즉시 교육위원회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통상 관계자 중심의 비공개 대책회의와 달리, 박 위원장은 교육청 관계자·교육위원뿐만 아니라 지역 학부모도 배석하도록 지시해 공개회의를 열고, 사건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주문했다.
또한, 경북교육청과 도의회는 약 14일간 입시 비리 제보 창구를 운영하는 등 발 빠른 대응에 나섰다.
박 위원장은 교육 현장의 위기 때마다 직접 현장을 찾아 문제 해결에 나섰다. 지난 2월 대전 초등학생 살인사건 직후, 지역 초등학교를 방문해 돌봄교실 운영 실태와 등·하교 동선 안전, CCTV 관제 상태, 사각지대 여부 등을 꼼꼼히 점검하며 안전망 재구축의 계기를 마련했다.
3월에는 국내 미등록 이주아동(불법체류자 자녀)의 추방 위기 소식을 접하고, 가장 먼저 성명을 발표했다. 박 위원장은 UN 아동권리협약에 따라 체류자격이 없는 경우라도 이주 아동의 교육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촉구와 언론 보도 이후, 전국적으로 법무부 방침을 비판하고 체류자격 연장을 요구하는 여론이 형성됐다. 결국 법무부는 미등록 이주 아동의 체류를 3년간 한시적으로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정치적 부담을 무릅쓰고 아이들의 권리를 지킨 사례로 평가된다.
재선 도의원인 박 위원장은 제12대 경북도의원 당선 이후 줄곧 교육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하며 경북 교육 정책의 안정적 토대 마련에 힘쓰고 있다.
그는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저의 책무"라며, "앞으로도 교육 정책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지키는 데 무게를 두고 의정활동을 펼쳐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하락에도 조국·윤미향·최강욱 사면 강행
李대통령, 조국·정경심·윤미향·최강욱 등 광복절 특별사면 [영상]
'조국·윤미향' 영향?…李대통령 지지율 56.5%로 최저치
대통령 '특정인 면죄부' 견제 없는 사면권…무소불위 권력 지적
조국 사면에 시민단체들 반발…"형기 30%만 복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