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윤미향 전 의원 등이 다가오는 광복절에 특별사면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광복절이 '치욕의 장'이 될 것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에게 사면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조 전 대표와 윤 전 의원에 대한 사면 시도를 즉각 중단할 것을 다시 한번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이재명 정권은 내 편 무조건 챙기기, 내 사람 한없이 감싸기식 사면으로 광복절마저 통합이 아니라 분열, 축제 아닌 치욕의 장으로 만들고 있다"면서 "일말의 반성도 없는 파렴치한 범죄자들에게 면죄부를 주는 사면, 국론 분열의 씨앗이 되는 사면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순국선열을 정면으로 모독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조 전 대표는 입시 비리와 감찰 무마 등으로 유죄가 확정된 권력형 범죄자다. 청년들에게 커다란 박탈감을 안겼다"면서 "윤 전 의원은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을 개인적으로 횡령한 파렴치범이다. 아직 억지 판결이라며 사법부를 매도하고 법원의 횡령금 반환 결정조차 거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송 위원장은 "광복절은 대한민국 자유와 독립을 기념하는 국민적 축제와 통합의 날"이라면서 "국민의힘은 어떤 비리 정치인에 대한 사면에도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11일 오후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광복절 특별사면·복권 대상자를 심의·의결한다.
이번 특별사면 대상자 명단에는 조 전 대표 부부와 최강욱·윤미향 전 의원이 들어갔다. 윤건영 의원, 백원우 전 의원,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 등 친문(친문재인)계 인사도 대거 포함됐다.
야권에서도 홍문종·심학봉·정찬민 전 의원 등이 이름을 올렸다. 친명(친이재명)계로 분류되는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사면 대상에서 빠졌다. 이 전 부지사는 대북송금 사건으로 6월 대법원에서 징역 7년 8개월 형을 확정받고 수감 중이다.
정치권에서는 사면심사위에서 결정된 명단이 국무회의에서 바뀔 가능성은 크지 않으리라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문재인 전 대통령은 우상호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을 통해 조 전 대표의 사면을 요구했고. 민주당 지도부와 이해찬 전 대표를 비롯한 여권 원로들도 범여권 주요 정치인들의 사면·복권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대통령 '특정인 면죄부' 견제 없는 사면권…무소불위 권력 지적
"배신자" "음모론자" 두 쪽 나버린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
'조국·윤미향' 영향?…李대통령 지지율 56.5%로 최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