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트럼프 정상회담, 이달 25일 '유력'…관세협상 후속 논의 등 안건 산적

입력 2025-08-07 15:38:18

이재명 대통령.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오는 25일 성사된 가능성이 높아졌다.

7일 여권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달 24일 미국에 도착해 이튿날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 방안을 미 측과 최종 조율하고 있다. 다만 최종 조율 과정에서 날짜가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통령실은 정상회담 일정과 관련해 양국이 협의하에 발표하는 관행을 의식해 말을 아끼고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양국의 외교적인 조율을 통해서 날짜를 정하고, 외교의 관례상, 그리고 예의상 미리 말씀드릴 수 없다"고 전했다.

한미 양국이 큰 틀의 정상회담 일정에는 합의를 이뤘지만 세부 동선과 일정 등 미세조율이 필요한 부분이 많아 최종 합의 및 공식발표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담에서는 미국 측이 요구하는 '동맹 현대화'는 물론 지난달 31일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논의 등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관세 협상 후속 협의는 농산물 개방 여부에 관한 확실한 매듭과 함께 3500억달러 규모의 펀드 투자금 실투자금액 등이 대상으로 꼽힌다. 아울러 미국의 반도체 100% 관세 선언에 우리 측은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다"고 온도차를 보이는 부분도 관건이다.

안보 측면에서는 국방비 인상 폭에 관한 절충이 필요하다. 미국이 전 세계 우방국들을 향해 국방비 증액을 강하게 압박 중인 상황을 감안하면 우리 정부도 일정 부분 미국 측 요구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우리 측은 일본·서방에 비해 예산 대비 국방비 비중이 이미 높다는 점을 어필하며 인상폭을 완만히 가져가는 방향으로 협상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한미 양국 조선 협력, 이른바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동맹 차원에서 구체화하는 협의도 이뤄질 전망이다.

한편 이 대통령은 오는 11일 베트남의 실질적인 서열 1위인 또 럼 공산당 서기장과 정상회담 및 국빈만찬을 가질 예정이다. 이 대통령 취임 후 첫 국빈 방한이다. 회담에서 두 정상은 정치, 외교, 안보, 교역, 투자 뿐만 아니라 원전, 고속철도, 스마트시티 등 국책 인프라, 과학기술 인재 양성 등 미래 전략 분야에 대해 심도깊은 협의를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