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한국 주식시장 정상화' 외쳤으나…여당 의원은 '차명거래' 의혹

입력 2025-08-06 15:51:00

대통령 국정 목표 무색하게 여당 중진이자 법사위원장이 낳은 '논란'
민주·정의 외치며 야당 '내란몰이' 했으나 정작 집안 단속 안 돼
총리 등 내각 인사 도덕성 검증 뭉개다 결국 대형 사고

차명 주식거래 의혹을 받는 더불어민주당 이춘석 의원이 5일 국회 본회의에서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 관련 필리버스터 종결 동의를 표결하는 투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차명 주식거래 의혹을 받는 더불어민주당 이춘석 의원이 5일 국회 본회의에서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 관련 필리버스터 종결 동의를 표결하는 투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가 조작범을 엄벌하는 등 한국 주식시장을 정상화해 '코스피 5000'을 달성하겠다던 새 정부의 노정(路程)이 여당 중진 의원발 돌발 사태로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더 센 상법 개정안이나 세제 개편안 등 여권이 추진하는 관련 정책들의 순수성에도 타격이 불가피한 여건이다.

새 정부 들어 이뤄진 내각 인선 과정에서 도덕성 검증을 소홀히 하는 등 분위기가 여권 내에 전반적인 기강해이로 이어진 게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온다.

6일 여의도 정가에서는 4선 중진 의원이자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던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주식 차명거래' 의혹을 살 행동을 한 것을 두고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송언석 원내대표 등 야당 인사들은 이춘석 의원을 향해 성토를 쏟아냈고 주진우 의원은 이 의원을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여당이 이 의원을 제명하기로 하는 등 서둘러 진화에 나섰으나 앞에선 민주와 정의를 외치지만 뒤에선 편법, 잇속 챙기기가 만연한 위선, '내로남불'이 또다시 벌어졌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과거 진보 진영은 이른바 '조국 사태'를 겪으며 '내로남불의 민낯'을 고스란히 드러냈고, 그때부터 시작된 균열이 결국 윤석열 정부 탄생의 단초가 된 게 아니냐"면서 "새 정부 인공지능(AI) 정책을 담당한 의원이 관련 주식을 거래했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새 정부 출범 뒤 내각 인사들의 도덕성 검증을 소홀히 하고, '제 식구 감싸기식'의 행보를 보인 것이 결국 '집안 단속' 실패의 결과를 낳았다는 해석도 나온다.

또 다른 관계자는 "총리가 인사청문회를 뭉개자 나머지 국무위원 후보들도 일제히 인청을 무력화하지 않았나. 도덕성 검증은 사실상 없다시피 했다"며 "낙마한 강선우 의원과 관련해서도 정청래 신임 당 대표가 당당히 통화 사실을 공개하는 등 여당 내 도덕의식이 일반 상식과 괴리가 커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