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이후 내국세 19.24%로 동결
지방정부서 재정 확충 위해 '인상' 요구 끊이지 않아
이재명 대선 공약인 데다 행안 장관 인사청문회서도 필요성 인정
20년 가까이 고정된 채 인상되지 못하고 있는 지방교부세 비율이 새 정부에서 증가될 수 있을지 이목지 집중되고 있다. 지방교부세 확대가 이재명 대통령 대선 공약이었던 데다 신임 행정안전부 장관 역시 긍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새 정부 국정과제를 검토 중인 국정기획위 역시 살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는 등 지방교부세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크다.
5일 여의도 정가 안팎에서는 전날 '지방소멸 위기, 지방재정으로 넘어서다' 정책토론회가 열리는 등 열악한 지방정부 재정 확충 방안에 대한 관심이 상당하다.
특히 주요 방안 중 하나로 2006년 이후 내국세 총액 대비 19.24%로 묶여 있는 지방교부세 비율을 상향하는 게 거론되고 있다. 이날 정책토론회에서 전문가, 지자체 관계자 등을 막론하고 참석자들은 지방교부세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공약했던 방향과도 궤를 같이한다. 이 대통령은 국토균형발전 공약 이행 방법 중 하나로 지방재정 확충을 꼽으며 '지방교부세 확대'를 명시했다.
이에 따라 국정기획위원회도 지방교부세 세율 인상 등 지방재정 확충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역시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지방교부세율 인상과 관련, "2~3%p(포인트) 올려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한 바 있다. 조재구 대한민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장도 최근 박수현 국정위 균형성장특위 위원장을 찾아 지방교부세율을 24.24%로 인상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국회에도 여당 의원을 중심으로 지방교부세율 인상 근거가 담긴 지방교부세법 개정안이 발의된 상태다. 김영진 의원안은 현행 19.24%를 20.24%로 1%p 인상하도록 했다. 조인철 의원안은 현행보다 5%p 인상한 24.24%로 바꾸는 근거를 담았다.
이처럼 각계의 뜻이 하나로 모이지만 나라의 '곳간'을 책임지고 있는 기획재정부가 어떤 입장을 보이느냐가 인상 여부의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김영진·조인철 의원 법안에 대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검토보고서(2024년 9월)에 따르면 기재부는 지방교부세율 인상에 대해 "최근 국세수입 결손 등 국가재정 여건이 어려우며 2023년 지방소비세율을 부가가치세액의 21%에서 25.3%로 인상, 지방재정 여건이 일부 개선됐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인터뷰] 주호영 국회부의장 "절박감·전투력 없는 국힘, 민주당에 못 당해"
국힘 당권주자들, 후보 등록 후 '찬탄'도 '반탄'도 나란히 TK로
장동혁 "계엄 유발한 정청래, 내란교사범·내란주범"
"땡전 뉴스 듣고 싶나"…野 신동욱, 7시간 반 '필리버스터'
한미 관세협상 타결 영향?…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