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위기의 대미 무역합의 속 희망품은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입력 2025-08-04 17:16:29

특별법, 철강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저탄소 전환 제도적 토대로 기대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선제재품. 매일신문DB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선제재품. 매일신문DB

상호관세율 인하(25%→15%)에 한국과 미국이 전격 합의를 함에 따라 철강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4일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발의가 향후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달 31일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상호관세와 자동차(부품 포함) 관세를 15%로 낮췄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번 협상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구리가 빠지면서 사실상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는 올 하반기부터 국내 철강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

철강업계에서는 고율의 관세가 지속될 경우 생산·판매 전략 수정 만으로 미국 시장 대응이 어렵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기준 국내 철강업계의 대미 수출은 전체 수출액의 13%에 달한다.

실제로 지난 2월 부과된 25% 관세 만으로도 실적악화가 나타났다. 지난달 국내 철강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보다 8% 감소한 24억달러에 그쳤다. 3분기에는 50% 관세의 직접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여 수출 시장은 더욱 어려울 전망이다.

철강업계에서는 대미수출량이 늘더라도 관세영향이 지속되면 현지 판매가 인하는 불가피하다고 보고, 탄소저감 강판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 및 현지화 전략 추진에 힘을 모으고 있다.

포스코는 현대제철과 함께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58억달러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2029년 상업가동이 시작되면 상황이 호전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 같은 어려운 여건에서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이 발의되자, 철강업계는 그나마 다행이라며 경쟁력 강화와 녹색철강기술 전환의 가속을 기대했다.

특별법은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 기본계획 수립 및 시행 ▷핵심전략기술·녹색철강기술 선정 및 녹색철강특구 지정 ▷전력 공급망 및 철스크랩 등 원료기반 확충 ▷불공정 무역행위 대응 등 철강업계 지원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 과잉 지속으로 경영 상황이 녹록지 않음에도 탄소중립 전환에 따른 막대한 투자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에다 철강 품목과세가 50% 유지되는 어려움까지 더해지고 있다"며 "이번 특별법이 철강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저탄소 전환을 동시에 가능케 할 제도적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