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조선' 관세협상 지렛대 역할…후속 성장 전략 더 중요

입력 2025-07-31 18:53:51 수정 2025-07-31 20:33:39

노후된 인프라 투자 부담 완화 방안, 인력 충원도 숙제
한미 협력 과정에서 우리 기업 '핵심기술' 보호해야

한미 관세 협상 시한을 나흘 앞둔 28일 경남 거제시 아주동 한화오션 본사에 대형 크레인이 보인다. 연합뉴스
한미 관세 협상 시한을 나흘 앞둔 28일 경남 거제시 아주동 한화오션 본사에 대형 크레인이 보인다. 연합뉴스

한국의 조선 산업이 극적인 한미 관세협상 타결의 원동력이 됐다. 업계 부흥을 위해 후속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현지시간) 한미 조선협력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가 무역협상 타결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한미 무역협상의 한국 측 수석대표였던 구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 DC의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한미 무역협상 타결 관련 브리핑에서 "오늘 합의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1천500억 달러(약 209조원) 규모의 한미 조선협력 패키지, 즉 마스가 프로젝트"라며 이같이 밝혔다.

마스가 프로젝트는 미국내 신규 조선소 건설, 조선 인력 양성, 조선 관련 공급망 재구축, 선박 건조, 유지보수(MRO) 등을 포괄한다. 정부는 이 사업을 한국 업계가 주도할 것으로 보고 미국 조선업 활성화를 지원하면서 동시에 우리 기업도 성장을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조선업 전반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수요에 기반해 사실상 우리 사업으로 진행될 예정"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선박 설계·건조 능력을 가진 우리 조선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도우며 새로운 기회와 성장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 조선업 능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미국내 선박 건조가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최대한 추진해 줄 것 요청했다"고 전했다.

조선업계에서는 이번 관세 협상 타결을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주요 기업들이 미국에 진출할 수 있는 분야가 확대하면서 일감 수주와 실적도 자연히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미국의 조선업은 1970년대부터 쇠퇴하기 시작해 설비가 노후화된 상태이며 전문 인력도 부족하다. 협력 과정에서 한국의 인프라 투자가 부담이 클 수 있다. 또 조선 산업의 원천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도 요구된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조선산업 생태계 재건을 위해서는 장기간 상당한 투자를 통해 인프라 개선, 생산성 향상, 인력 충원 등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미국내 조선소 생산성 개선 방안과 우리나라 기업이 인수한 미국 조선소 부지 및 주변 인프라 정비 방안에 대해서도 양국 정부가 사전에 협의해야 한다. 인력과 공급망 저변을 확보하는 전략을 구축하는 한편 산업기술보호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