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정보 미제공 지역 전국서 대구와 울산 뿐
대구시 "공개 반대 민원 많아 포기…환경부에 제작 요청"
전국 곳곳에서 폭우로 인한 침수 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대구는 환경부가 제공하는 '도시침수지도'에서 빠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가 환경부에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가 이후 민원 등을 이유로 지도 제작을 포기한 탓이다. 뒤늦게 환경부가 지도 제작에 나섰지만 완료 시점이 장마철을 넘긴 9월로 늦춰지면서 시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환경부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은 전국 도시침수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지도에는 많은 비가 내려 배수펌프장 용량이 초과되거나 고장났을 경우 예상되는 침수 범위와 깊이가 표시돼 있다.

20일 환경부 홈페이지를 통해 도시침수지도를 열람해보니 대구 지역 정보는 텅 비어있었다. 대구처럼 도시침수지도에서 빠진 곳은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과 부산, 울산 뿐이다. 이중 서울과 부산은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고 별도로 침수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깜깜이' 상태에 놓인 곳은 대구와 울산이 유이하다.
대구시가 제대로 된 침수 관련 정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대구시 자연재난과에 따르면 침수 위험 지역이 정리된 자료는 2018년 제작된 책자가 마지막이다. 이 책자는 2002~2016년 자료를 기반으로 제작된 것으로, 책자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시청을 찾아야 해 활용조차 어려운 상태다.
전문가들은 최근 이상기후로 대구의 침수피해도 적잖은 만큼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한건연 경북대 토목공학과 명예교수는 "도시침수지도는 위험한 지역을 도면상으로 나타냈을 때 사전 경각심을 불러올 수 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개하는데, 대구시는 그동안 비 피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서인지 대응에 느렸던 것으로 보인다"며 "기후변화가 지속되고 있는 현재,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모든 지역이 집중호우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대구시도 선제적인 홍수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환경부는 도시침수지도 제작 당시 대구시가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배제했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대구 등 4곳이 직접 지도를 제작하겠다고 해 나머지 지역 정보만 반영했다"며 "지난해 대구시에서 지도 제작 요청이 들어와 올해 초부터 제작 중이다. 오는 9월 작업이 완료돼 홈페이지에 반영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당초 서울과 부산처럼 자체 시스템 구축을 시도했지만 지도 공개에 반대하는 민원이 적잖아 무산됐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자체 시스템 구축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온라인으로 관련 정보를 공개할 경우 집값이 떨어진다는 민원이 빗발쳐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며 "현재 환경부에 도시침수지도 제작을 요청한 상태로 빠른 작업을 위해 앞으로 꾸준히 연락을 취하는 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尹지지 후보 없으면 내가 당대표 출마"…입당후 논란 계속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
李 대통령 굳건한 지지율 이유 1위는 '경제·민생'…국힘은 19%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