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회복 지연·미 관세부과 등 대외 여건 악화, 수출 둔화 우려 여전
주가 상승·추경 사업 기대감 반영…소비심리 회복 추세 보여
정부가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 부과에 따른 기업 수출 악화 우려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소비심리 개선 등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18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7월호에서 "소비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 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우려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여전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지난 1월 '경기 하방 압력이 지속'된다는 표현에 이어 지난달부터 '경기 하방 압력'이 여전하다는 평가는 계속됐으나, 소비심리 개선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났다며 변화한 평가를 반영했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소비심리가 크게 꺾였던 것이 조금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며 "최근 주가 상승과 추경 사업의 기대감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다만 "기업심리 실적 전망이 하락한 부분도 있고, 트럼프 행정부 관세 영향도 있다. 특히 수출 기업 쪽은 (실적) 하방 위험이 너무 크다"며 "불확실성이 너무 큰 상황이라 전반적인 경기나 경제 상황을 낙관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판단은 소비심리 회복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5월 소매판매는 소비자심리지수 개선과 방한 중국인 관광객 증가 등 긍정적 요인이 있다고 평가했다.
5월 소매판매는 내구재(1.2%), 준내구재(0.7%)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비내구재(-0.7%)는 줄어 전년 동월 대비 비슷한 수준(-0.2%)로 평가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8.7로 5월(101.8)보다 6.9포인트(p) 올랐다.
지난달 방한 중국인 관광객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8% 증가했다.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량도 10.3% 늘었다. 다만 백화점과 할인점 카드 승인액은 각각 -1.1%, -1.6% 감소하며 소비 부분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평가했다.
6월 수출은 반도체 업황 개선과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 선수요 등이 반영돼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했다. 일평균 수출액은 28억5천만달러로 지난해보다 6.8% 늘었다.
5월 산업활동 주요 지표도 내수 회복 지연과 대외 여건 악화 등을 고려해 감소하는 모습이었다.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광업 및 제조업, 전기가스업 등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0.2% 증가했다.
자동차(-3.2%), 의약폼(-10.7%) 감소했으나, 반도체(18.1%), 기타 운송장비(29.4%), 의료정밀광학(11.9%)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전년 동월 대비 서비스업(1%)은 증가했으나 건설업(-20.8%)은 감소해 전산업 생산(-0.8%)은 감소했다.
지출 부문은 전년 동월 대비 소매 판매(-0.2%)는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설비투자(7.5%)는 증가했으나, 건설투자(-20.8%) 감소세가 여전했다.
소비 부분에서 긍정적 신호와 반대로 기업 심리 실적을 나타내는 6월 전산업 (CBSI)는 90.2로 전월 대비 0.5p 하락했다. 전망치도 89.4로 전월 대비 0.1p 소폭 하락했다.
5월 동행지수는 비농림어업취업자수, 서비스업 생산 지수 증가에도 건설기성액과 내수출하지수 감소 등으로 0.4p 하락했다. 5월 선행종합지수는 경제심리지수 증가에도 건설수주액 감소 등으로 0.1p 하락했다.
6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4% 상승하는 가운데 수도권(0.37%)은 상승한 반면 대구(-0.20%), 부산(-0.16%), 광주(-0.22%) 등으로 지방(-0.09%)은 하락했다.
정부는 향후 대외 경제는 "주요국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 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및 교역·성장 둔화 우려된다"고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이에 내수 회복을 위한 추경 실행과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기업 영향 대비 등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경기·민생 회복을 위한 31조8천억원 규모의 추경을 최대한 신속히 집행하고, 7월 21일 지급 예정인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비·지역경제 등 내수 활성화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범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등 통상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관세 폭탄에 노동계 하투까지…'내우외환' 벼랑 끝 한국 경제
"소년 이재명, 성폭행 연루" 주장한 모스 탄, 경찰 수사 착수
김상욱, '소년 이재명 성범죄 가담' 주장 모스탄에 "추방해야"…이진숙 자진사퇴도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