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EU·멕시코에 30% 상호관세 부과…EU는 '협상 지속' 촉구

입력 2025-07-13 16:17:57 수정 2025-07-13 20:16:55

30개국에 고율 관세서한 발송

도널드 트럼프(가운데)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 회의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대화하며 웃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가운데)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 회의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대화하며 웃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과 멕시코에 나란히 30%의 상호관세를 내달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에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에게 각각 보낸 서한을 공개하며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두 서한의 작성일은 11일로 명시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상호관세 정책을 처음 발표할 당시 EU에는 20%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예고했으나, 이번에는 이를 10%포인트(p) 인상한 것이다. 반면 지난 5월 밝힌 50% 관세 경고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적자는 우리 경제와 국가안보에 중대한 위협"이라며 이번 조치가 협상 압박의 성격을 갖는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미국과 EU 협상팀은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 문제를 두고 논의를 이어왔으나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태다.

멕시코의 경우, 당초 4월 상호관세 대상국에서 제외됐으나 이번에 새로 포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2월, 캐나다와 함께 멕시코에 대해 대미 마약 반입 문제를 이유로 25% 관세를 책정한 바 있으며, 이번 발표는 그보다 5%p 인상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에 대한 서한에서 "펜타닐 유입 문제 해결을 위한 멕시코의 대응은 충분하지 않다"며 "카르텔 대응과 마약 차단이 성공하면 관세 조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멕시코산 수출품 중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 준수 상품에 대한 관세 면제 지속 여부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EU는 같은 날 오후 성명을 내고 협상 재개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EU는 8월 1일까지 합의 도출을 위해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며, "동시에 EU 이익 보호를 위한 비례적 대응조치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EU 수출품에 대한 30% 관세는 대서양 공급망을 교란하고 양측 기업·소비자·환자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며, "대화와 안정, 건설적 파트너십에 기반한 해결책을 원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90일 유예를 거쳐 9일부터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었으나, 이를 내달 1일로 조정했다. 7일부터는 한국, 일본 등 14개국을 시작으로 각국 정상에게 조정된 상호관세율을 통보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25건(24개국+EU)의 서한이 공개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