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철 대구행복진흥원 이사장 "대구형 행복 모델, 복지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을 것"

입력 2025-07-10 17:21:49 수정 2025-07-10 21:19:50

취임 1주년 인터뷰…"'대구형 행복 모델', 정책과 현장 유기적 연결"
"단순 물리적 통합 넘어 기관 방향과 역할 재정립, 최우선 과제로 추진"

취임 1주년을 맞은 배기철 대구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이사장. 행복진흥원 제공.
취임 1주년을 맞은 배기철 대구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이사장. 행복진흥원 제공.

"'대구형 행복 모델'은 복지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개인 삶의 질 향상뿐 아니라 저출생·고령화 등 국가적 난제를 풀어갈 핵심 전략으로 중요한 대응 정책이 될 것입니다."

취임 1주년을 맞은 배기철 대구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이사장이 최대 성과로 꼽은 '대구형 행복 모델'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대구형 행복 모델'은 대구행복진흥원이 정책과 현장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올해 처음 개발한 시스템이다.

배 이사장은 "지난 1년 동안 막중한 책임감 속에 '대구형 행복 모델'을 고민하는데 많은 시간을 쏟았다"며 "복지의 틀을 넘어 '행복'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중심에 두고 나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보람을 느낀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간 배 이사장은 '대구형 행복 모델' 개발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어왔다.

그는 "다양한 삶의 현장에서 시민이 직접 행복을 느낄 수 있으려면 정책과 현장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선순환 구조가 필수"라며 "이는 '대구형 행복 모델' 개발의 궁극적 목적이기도 했다"고 강조했다.

배 이사장은 통합기관 운영에 걸맞은 시스템 체계 구축도 최대 성과 중 하나로 꼽았다. 대구행복진흥원은 지난 2022년 10월 전국 최초로 청소년·청년·여성가족·평생교육·사회서비스 분야를 통합해 출범했다.

그는 "취임 당시 단순한 물리적 통합을 넘어 기관의 방향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운영 체계를 정비하는 등 조직 쇄신과 안정화를 이루는 것이 최우선 과제였다"고 밝혔다.

신규 사업 발굴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지난해 12월에는 대구구청장·군수협의회, 대구시의사회, iM뱅크 등 5개 기관·단체와 사회공헌 협약을 체결, '찾아가는 대구행복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나눔 활동을 펼쳤다.

배 이사장은 "최근 울산 등 지자체에서 대구행복진흥원의 통합 운영 모델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대구형 행복 모델'이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사례"라며 "앞으로도 대구 시민이 신뢰하는 대구행복진흥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