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군청 두달새 51명 휴직·이직…남은 공무원들 "업무 과중"

입력 2025-07-10 15:48:46 수정 2025-07-10 21:25:10

산불발생 이후 전체 인원중 10% 빠져 '인력난'
"9월 충원때까지 버틸 뿐"

영덕군청 전경. 매일신문DB
영덕군청 전경. 매일신문DB

지난 3월 대형 산불 발생 이후 영덕군이 인력난으로 애를 먹고 있다. 쏟아지는 격무를 견디기 힘든 공무원들이 휴직과 이직 등을 한꺼번에 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군청 내 23개 부서는 물론이고 9개 읍면사무소에서도 사정은 비슷하다.

10일 영덕군에 따르면 전체 인원 667명 가운데 51명이 지난 두 달 사이 동시에 빠지면서 각 부서별 인원도 1명씩 조정에 들어갔다. 기존 인원들이 공석을 메우고 있는 상황인데, 산불 피해 복구 등 할 일은 더욱 늘어 업무가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공무원들은 공공서비스의 질 저하와 공직사회의 피로 누적이 임계점에 곧 도달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충원이 예정된 9월까지는 '버티기' 외에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영덕군청 A팀장은 "인력은 줄고 업무는 더 늘고, 매일 쏟아지는 업무에 숨 돌릴 틈이 없다"며 인력 충원만 기다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행정안전부 지침 때문에 오는 9월 지방공무원임용시험을 합격한 신규 공무원들의 충원마저 걱정하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지방자치단체 조직관리 지침'을 통해 2027년까지 지방공무원 정원을 2022년 수준으로 동결하고, 신규로 필요한 인력은 재배치로 충원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또 매년 일반직 공무원 정원도 1% 감축하도록 했다.

이와 관련해 영덕군은 기후위기 대응, 재난안전 관리 강화 등 각 지자체마다 처한 행정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지침이 유연하게 적용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영덕군 관계자는 "전체 인력의 10%가량이 2달 사이 빠져나가면서 각 부서가 1인당 업무부담이 과중되고 있다. 과도한 업무 누적으로 인한 사기저하는 휴가 증가 등 또 다른 인력 공백을 만들 수 있어 각 부서마다 걱정이 크다. 공석에 따른 인력 운영을 예상한 정원 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