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여러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당사자들은 대부분 의혹에 대해 해명하지 않으면서 하나같이 청문회(聽聞會)에서 밝히겠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언론의 비판과 여론의 압박에도 안하무인(眼下無人)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범여권이 장악하고 있는 청문회가 자신을 지켜 줄 것이란 믿음과 각종 의혹에도 아랑곳없이 임명된 김민석 총리의 전례가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14일부터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시작된다. 국민의힘은 도덕성과 정책 전문성 등에서 의혹을 제기하며 '송곳 검증'을 벼르고 있다. 그러나 민주당은 '결정타'가 될 만한 내용은 없다며 후보자들의 적격성(適格性)을 부각할 방침이다. 또 사소한 잘못보다 장관으로서의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대통령과 여당만이 후보자의 도덕성과 능력을 판단하는 게 아니다. 야당의 판단과 국민 눈높이도 중요하다. 그래서 국회 인사청문회가 도입된 것이다.
교수 출신인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제자의 학위 논문을 표절(剽竊)해 10개 이상의 논문을 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논문 표절은 학계에서는 범죄 행위에 가깝다. 더욱이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은 심각한 문제다. 2000년 송자 전 교육부 장관, 2006년 김병준 전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표절·중복 게재 의혹 등으로 취임 직후 낙마(落馬)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가족이 태양광 사업을 하는데 국회에서 태양광 지원 법안을 발의했다. 이해충돌(利害衝突) 소지가 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는 가족들에게 헐값이나 무상으로 집·건물·차량을 임대·증여했다는 의혹을 산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경우 배우자가 과거 일정 기간 전국 각지 다양한 업종의 사업장에서 동시에 급여를 받아 '배우자 우회 스폰'이란 지적이 나온다.
이런데도 민주당은 청문회를 열기도 전에 '낙마 없는 청문회'를 공언(公言)하고 있다. 하기야 재판이 열리지 않았는데도 줄곧 '무죄'를 주장하던 그들이 아니던가. 윤석열 정부 시절 야당이었던 민주당은 정호영, 김승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와 김인철 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이균용 전 대법원장 후보자 등에 대해 '아빠 찬스' 의혹, 정치자금법 위반 등을 이유로 끈질기게 사퇴를 요구했다. 그랬던 민주당이 김 총리 후보자의 비슷한 의혹에 대해선 "별것 아니다"며 옹호했다. 아무리 여당이라도 청문회에서 감싸기로 일관(一貫)해선 안 된다. 일부 장관 후보자의 의혹은 도를 넘었다. 민주당은 국민에게 또 '맹탕 청문회' '면죄부 청문회'를 보여 주려는가.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