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해병특검 "7일 오전 10시 30분 김계환 전 사령관 소환"

입력 2025-07-04 10:56:38 수정 2025-07-04 13:22:16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연합뉴스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연합뉴스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특별검사팀(채 상병 특검팀)이 '키맨'으로 불리는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에게 오는 7일 오후 10시30분까지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

정민영 채 상병 특검보(특별검사보)는 4일 오전 특검팀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 서초구 서초한샘빌딩에서 브리핑을 열고 김 전 사령관에게 오는 7일 오후에 출석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정 특검보는 "당사자(김 전 사령관)하고 연락이 됐고, 10시30분에 출석하는 것으로 논의가 됐다"며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나 당시 대통령실로부터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 이런 것들이 주된 조사 내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을 상대로 국방부 혹은 대통령실로부터 혐의자 축소 지시를 받은 바 있는지, 윗선으로부터 외압을 받은 정황이 있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물을 전망이다.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8월 무렵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이끌었던 해병대 수사단이 특정한 8명의 혐의자가 최종 2명으로 축소되는데 관여한 혐의를 받는다. 또한, 이 전 장관을 비롯한 국방부 상부로부터 '수사대상 축소' 혹은 '사건기록 이첩 보류' 지시를 직접 받은 의혹도 있다.

박 대령은 채 상병 순직사건 초동조사기록에 대한 이첩 보류 지시에 불복해 항명죄로 재판을 받아왔는데 김 전 사령관은 박 대령 1심 재판의 증인으로 출석해 수사외압 의혹을 전면 부인한 바 있다.

한편, 정 특검보는 "다음 주부터 이른바 'VIP 격노설' 관련 조사를 본격화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그는 "수사 외압 의혹이 촉발된 계기가 2023년 7월 31일 열린 (대통령실) 회의였다"면서 "이 회의 이후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채 상병 사망 사건) 혐의자 명단에서 빠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회의와 관련해 정황을 알고 있을 것으로 보이는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다음 주부터 시작할 예정"이라고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