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작업장 12곳 폭염 관리 실태 조사
12곳 중 7곳 폭염 시에도 작업 시간 조정 없어 별도 휴게 공간 없는 곳도 수두룩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고용노동부, 규칙 개정·가이드라인 제시해야"
생산현장에서 일하는 대구 근로자들이 온열질환 가능성이 유독 높은 환경에 노출되고도 충분한 보호조치를 받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역 노동계는 고용노동부에 구체적인 폭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가 지난달 16일부터 보름 동안 대구 12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이중 3곳에서 지난 3년 새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현장의 체감 온도는 기상청 발표 기온을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과정에서 31회 측정한 작업장 기온 중 기상청 발표보다 현장 온도가 높았던 사례가 31회 중 24회에 달했다.
특히 대구에 올 여름 첫 폭염경보가 내렸던 지난달 28일 기상청의 발표 기온은 36℃였지만, 건설업 옥외 작업장의 실제 기온과 체감 온도는 42.5도에 달했다.
하지만 폭염 대비책은 매우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대상의 절반 이상인 7곳(58.3%)이 폭염 시 작업 시간을 조정하지 않았고, 체감 온도가 33도 이상일 때 2시간 마다 20분 이상의 휴식시간을 부여하는 사업장은 3곳(25%)뿐이었다 .
한 근로자는 "금속 프레스를 옆에 두고 일하고 있는데 기계 온도가 평균 120도가 넘다보니 매일 온열질환과 싸우고 있다"며 "아직 6월인데도 현장 온도는 37도까지 치솟는 일이 잦고 습도도 높아 직원들이 느끼는 더위는 상상을 초월한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3일 기자회견을 열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박성호 공공운수노조 대구경북지역본부 이월드지부장은 "근무 특성상 야외 근무가 많은데, 오전 11시만 지나도 39도까지 치솟으니 근로자들이 힘들 수밖에 없다. 다행히 사측과 합의해 폭염 대책을 세우게 됐다"며 "노동조합이 없고 영세한 사업장의 노동 환경은 열악한 상태로 방치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법카 의혹' 재판 연기된 李 대통령, '쌍방울 대북 송금' 재판은?
심우정 "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