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지역 현안 이재명 정부 정책 반영위해 적극 나서야
시의회 무소속 의원 중심, 이재명 정부와 소통 변화해야
이재명 대통령 취임 한 달을 맞으면서 대통령의 고향인 안동지역에서는 '국민주권정부'의 성공과 함께 지역의 오랜 숙원·현안 사업 해결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동시에 보수 성향의 지역성을 떠나 혁신과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안동시는 지난 4월 대선을 앞두고 부시장을 중심으로 국가 발전과 지역 성장을 동시에 견인할 수 있는 '21대 대선 공약 실무 추진단'(이하 추진단)을 전격 구성했다. 추진단에서는 국가와 지역 전체의 혁신성장을 견인할 핵심 프로젝트를 발굴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국립경국대학교 의과대학 신설 ▷육군사관학교 이전 ▷낙동강 수계 광역상수원 시스템 구축(안동~대구~부산) ▷K-헴프 전주기 산업화 프로젝트 ▷경북 4G 바이오 산업화 클러스터 조성 등이 포함됐다.
낙동강수계 광역상수원 시스템 구축은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등 사업과 맞물려 안동의 미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이 밖에 '산불 특별법 제정'과 경북 국립의과대학 설립, 바이오생명 국가산업단지 조성 등 굵직굵직한 지역 현안 사업에 대해 이재명 정부와의 발 빠른 접촉과 설명, 정책 반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정부 여당에 몸담고 있는 다양한 인맥과의 꾸준한 접촉이 필요한 실정이다.
무소속 안동시의원들을 중심으로 '대통령의 고향 안동'의 변화와 혁신, 발 빠른 소통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재갑 시의원은 "'대통령의 고향'이라는 이름에 기대어 안주하는 도시가 아니라, 새 정부의 국정 철학인 '국민주권'을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가장 모범적으로 혁신하는 도시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호석 시의원은 "지역경제를 살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 중앙정치와 지방정치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하며, 정파를 넘어선 연대와 협력만이 우리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의 미래를 열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안동시 관계자는 "지역 발전을 위한 현안문제 해결에 여야가 따로 없다. 경북도와 별도로 안동지역 현안이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정부와 소통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정진호의 每日來日] 청포도의 꿈, 청진과 포항 쇳물로 길을 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