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 이후 군의관 대신 현역·사회복무요원 택한 의대생들…3천375명 입대

입력 2025-07-02 13:54:09 수정 2025-07-02 14:47:19

공보의협의회, 병무청 대상 정보공개 청구…올해만 2천42명 입대

기사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기사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의정 갈등 이후 공중보건의사나 군의관 대신 현역·사회복무요원 입대를 선택한 의대생이 3천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병무청을 대상으로 정보 공개 청구를 한 결과, 올해 5월 현역 또는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한 의대생이 434명이었다고 2일 밝혔다. 이로써 지난해 2월 의정 갈등이 시작된 이래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가 아닌 현역이나 사회복무요원이 된 의대생은 총 3천375명이 됐다.

5월 입영자 가운데 현역 입대자는 399명, 사회복무요원 입대자는 35명이었다.

올해 들어 5월까지 입대 인원은 총 1천838명으로, 지난해 입대 인원(1천537명)보다 많다는 게 공보의협의회의 설명이다.

이성환 공보의협의회장은 "지금까지 입대한 남학생들의 수가 통상적으로 배출되던 의대생 한 학년 전체(3천58명)만큼 늘었다"며 "현장의 인력 공백과 국민 건강권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때 국방부는 지금이라도 전향적인 자세로 공보의와 군의관 제도 개선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