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개 지역 국립대병원 선정…3년간 500억원 투자
경북대병원을 포함한 5개 비수도권 지역 국립대병원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추진하는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사업'에 선정됐다.
1일 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전체 국립대병원 9곳이 모두 사업 참가를 신청했고, 복지부는 평가를 거쳐 강원대병원, 경북대병원, 전남대병원, 제주대병원, 충남대병원(가나다 순)을 지원 대상으로 최종 선정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국립대병원은 균형잡힌 연구·진료 수행을 통해 인력양성의 요람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지역 국립대병원의 연구 인프라가 장애요인이라는 현장 의견이 계속 제기됐었다"며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연구-임상의 선순환 발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 간 의료격차 개선의 핵심 주춧돌로서 이번 사업을 진행하게 됐다"고 사업의 의의를 밝혔다.
이 사업은 환자가 전국 어디에서든 제때 치료받을 수 있게 하는 필수·공공의료 체계 구축 계획의 하나로, 지역 국립대병원의 연구 기반을 강화할 '핵심 인프라'와 병원별 '특화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연구 분야와 방식은 지역의 필수의료 여건과 연구 수요를 종합하여 국립대병원이 자유롭게 기획·추진할 수 있다.
5개 병원이 각각 핵심 인프라 분야를 선정했는데, 경북대병원은 유전체, 전사체, 단백질체, 대사체 등 다양한 생물학적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질병의 원인과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 분야인 '다중오믹스'를 핵심 인프라 분야로 정하고, '난치성 암 조기진단·예후예측 치료 타겟 발굴'과 '패혈성 급성 신손상 관련 통합오믹스(다양한 종류의 유전체, 전사체, 단백질체, 대사체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하는 연구 분야) 기반 중개연구'를 과제로 설정했다.
또 국립대병원이 해당 지역의 필수의료 여건과 연구 수요를 종합해 연구 분야·방식을 기획하면 연구비를 지원한다. 이 사업에 들어가는 예산은 시행되는 3년간 500억원으로 책정됐으며 각 병원 당 100억원 안팎으로 지원될 예정이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국립대병원은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서 지역의료의 교육·연구·임상을 모두 선도할 역량을 갖춰야 한다"며 "모든 국립대병원이 수도권 대형병원에 버금가는 연구 경쟁력을 갖추도록 연구개발(R&D) 관련 투자도 전폭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정경훈 칼럼] 집권 세력의 오만과 국민 조롱, 국민이 그렇게 만들었다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