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봄 영남 산불 재난폐기물 95.6% 처리 완료

입력 2025-07-01 13:46:27

환경부 "울산·경북·경남 74만3천t 중 71만1천t"
여름철 수해 대비 적환장 1천300곳 예비 확보

부처님 오신 날인 5일 오전 경북 의성군 고운사에서 봉축 법요식이 열린 가운데 신도들이
부처님 오신 날인 5일 오전 경북 의성군 고운사에서 봉축 법요식이 열린 가운데 신도들이 '경북 산불'로 폐허가 된 경내에서 기도를 올리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3월 영남권에서 발생한 '괴물 산불'로 발생한 재난폐기물 74만3천t(톤) 중 95.6%에 해당하는 71만1천t이 처리됐다.

환경부는 1일 "6월 말 기준 산불 재난폐기물 처리율이 95.6%에 달한다"고 밝혔다. 지역별 처리율은 울산(울주) 100%(0.08만t), 경북(안동·영덕·영양·의성·청송) 95.0%(73.7만t 중 70.4만t), 경남(산청·하동) 100%(0.6만t) 등으로 나타났다.

발생 유형별로는 전소되거나 반소된 주택·상가·농업용창고 등 주민 생활·생계시설의 철거 과정에서 발생한 약 70만8천t 중 96%인 68만t이 처리됐다. 산불 피해 공장(65개사)에서 발생한 3만5천t 중에는 88.1%인 3만1천t이 처리 완료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국비 1천420억원을 피해 자치단체에 교부하고, 재난폐기물 처리 지연의 주요 원인인 자치단체의 위탁용역 계약체결 현황을 집중적으로 관리해 신속한 계약체결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 소속 유역(지방)환경청과 경북은 산불 폐기물 수집·운반·처리 현장을 매주 점검하고, 처리실적을 관리해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환경부와 자치단체는 아직 철거되지 않은 산불 피해 주택과 소규모 공장의 잔여 재난폐기물 3만여t(전체 약 5%)도 철거가 완료되는 대로 곧바로 처리할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와 자치단체는 올여름 장마와 태풍 등 풍수해에 대비한 수해 재난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와 관리를 위해 대응체계를 갖추고 있다. 수해 복구 대응 초기 단계에서부터 재난폐기물 발생량 조사를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수해 재난폐기물 산정 및 관리 지침서'를 마련해 전국 자치단체와 재난 관련 기관에 배포하고, 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도 실시했다.

아울러 전국 자치단체에서는 수해가 발생할 경우 침수된 가옥으로부터 전자제품, 집기류 등 각종 수해 재난폐기물을 신속·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총 1천300곳(612만t 적환 가능)의 적환장(폐기물장) 예비 부지를 확보하고 있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산불 피해지역의 신속한 일상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재난폐기물 관리와 처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여름철 수해 폐기물에 대해서도 처리 지연 및 2차 환경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