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의 완만한 하락 흐름이 이어지면서 지난달에도 은행권의 대출 및 예금 금리가 동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계대출 금리는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하락세를 여섯 달째 이어가고 있다.
한국은행이 30일 공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5월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26%로, 전달인 4.36%에서 0.10%포인트(p)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 12월 이후 반년째 이어지는 내림세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98%에서 3.87%로 0.11%p 하락했다. 같은 기간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5.28%에서 5.21%로 0.07%p 낮아졌다.
반면 기업 대출 금리는 소폭 반등했다. 예금은행의 기업 대출 금리는 5월 4.16%로, 전월(4.14%) 대비 0.02%p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으로 반등한 수치다. 대기업 대출 금리는 4.04%에서 4.15%로 0.11%p 상승한 반면,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4.24%에서 4.17%로 0.07%p 하락했다.
가계와 기업을 모두 포함한 전체 대출 평균금리는 4.19%에서 4.17%로 0.02%p 낮아졌다.
한국은행 김민수 금융통계팀장은 "은행채 금리와 코픽스(COFIX) 등 주요 지표금리가 하락하면서 가계대출 금리도 내려갔다"며 "기업 대출의 경우, 전월에 저금리 정책 대출이 대규모로 집행된 데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인수금융 등 상대적으로 고금리 성격의 대출이 실행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수신 금리 역시 하락세를 이어갔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2.71%에서 2.63%로 0.08%p 떨어졌다.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 연속 하락이다.
상품 유형별로는 순수저축성예금 금리가 2.71%에서 2.64%로 0.07%p, 시장형 금융상품 금리는 2.69%에서 2.58%로 0.11%p 하락했다.
대출과 예금의 신규 취급 금리 차이인 예대금리차는 1.54%p로 전월(1.48%p) 대비 0.06%p 확대됐다. 대출 금리보다 예금 금리의 하락폭이 더 컸기 때문이다. 다만, 기존 대출 및 예금의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2.21%p에서 2.19%p로 0.02%p 줄었다.
은행 외 금융기관에서도 예금금리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1년 만기 기준 정기예금 및 예탁금 금리는 신용협동조합이 3.12%로 0.09%p, 상호금융은 2.88%로 0.18%p, 새마을금고는 3.14%로 0.08%p 각각 떨어졌다. 상호저축은행은 2.98%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비은행권 대출 금리의 경우 상호저축은행이 10.92%로 0.20%p 상승했고, 상호금융(4.86%)과 새마을금고(4.79%)도 각각 0.16%p, 0.04%p씩 올랐다. 반면 신용협동조합은 4.99%로 0.02%p 내렸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