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해킹 배후는 북한?… 조사단은 "확인된 바 없어"

입력 2025-05-21 17:32:02 수정 2025-05-21 19:16:49

정부 "북한에서 해킹 시작 징후 포착 내용 보도돼"
"현재까지 해킹 주체 등은 확인된 바 없다" 해명
올해 정보 유출 급증… 해킹 공포 전방위로 확산

20일 서울 시내 한 SK텔레콤 공식인증 대리점에 유심 교체 관련 안내 포스터가 붙어 있다. SK텔레콤은 전날 유심을 교체한 고객이 33만명, 누적 교체자 수가 약 252만명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20일 서울 시내 한 SK텔레콤 공식인증 대리점에 유심 교체 관련 안내 포스터가 붙어 있다. SK텔레콤은 전날 유심을 교체한 고객이 33만명, 누적 교체자 수가 약 252만명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SK텔레콤 해킹사건을 조사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이 21일 "현재까지 해킹 주체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SKT 해킹사건 배후에 북한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이에 선을 긋는 입장을 낸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설명자료를 내고 "'민관합동조사단 등 관계 당국은 아직 공식적으로 거론하지 않았지만 조사 과정에서 북한에서 해킹이 시작됐다는 징후가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는 내용이 보도됐다"면서 "현재까지 해킹 주체 등은 확인된 바 없다"고 알렸다.

SKT 해킹 배후로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해커집단을 지목한 이들도 있다. 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 19일 SKT 침해사고 2차 조사결과 발표에서 "현재까지 BPF도어(BPFDoor) 계열 24종과 웹셸 1종 등 악성코드 25종을 발견해 조치했다"고 밝힌 바 있다.

SKT 서버에서 발견된 BPF도어는 3년 전 최초로 존재가 보고된 '백도어 프로그램'(정상적 절차를 거치지 않고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인데, 중국 해커집단 '레드 멘션'이 중동, 아시아 지역 통신사를 공격하면서 BPF도어를 활용한 적이 있다는 주장이다.

한편 SKT 사태를 계기로 해킹에 대한 공포심이 전 분야로 확산하는 분위기다. 강대현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조사총괄과장이 이날 '개인정보 정책포럼'에서 발표한 '개인정보 유출사고 현황 및 대응방향' 발제문에 따르면 개인정보 유출 건수는 2022년 64만8천건, 2023년 1천11만2천건에서 올해 1~4월 3천600만건(SKT 유출사고 약 2천500만건 포함)으로 급증했다.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포럼 개회사에서 "약 2천50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SKT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해 국민들의 우려가 대단히 큰 상황"이라며 "법 위반사항에 대해 강력하게 제재할 것"이라고 했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왼쪽)이 21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서울청사에서 열린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왼쪽)이 21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서울청사에서 열린 'SKT 사이버 침해사고 관련 이동통신 3사 점검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