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일 안 하고 편하게 사는 거."
오랜만에 만난 친구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돈을 벌고 사는 내가 부럽다길래 그럼 넌 뭘 하면서 살고 싶은데, 라는 되물음에 이렇게 대답했다. 자본주의 실리에 눈이 밝아서 일찌감치 은행원이 된 아이였다. 고등학교 때는 음악과 책, 지금은 골프와 걷기로 취미도 극명하게 갈리는 그 아이와 난 성격뿐 아니라 모든 게 대척점에 있는 듯했다.
음식처럼 사람 관계에도 궁합이란 게 있다. 해물찜과 우유, 삼겹살과 메밀차 같은 상극의 관계는 소화불량과 복통을 일으키듯 결국 파국으로 끝날 것이라 여겼다. 친구와 난 만날 때마다 왜곡된 기억과 상반된 가치관을 두고서 매번 끊어질 듯 팽팽한 낚싯줄처럼 대치했다. 그런데 또 묘하게도 어느 순간 눈 녹듯 조금 전의 일을 까맣게 잊고서 한데 어우러져 있는 것이다. 팽팽했던 낚싯줄 끝에 딸려 온 대어를 합동해 끌어올린 것처럼 말이다.
일제 강점기를 살다 간 절친한 소설가 두 명이 있었다. 각각 단편소설 '동백꽃'과 '날개'로 한국 문단에 획을 그은 김유정과 이상이다. 구인회의 회원으로서 함께 '죽음'을 꿈꿨을 정도로 친했던 둘이지만, 문학작품의 성향만은 상극의 음식처럼 달랐다. 이상의 그것이 그로테스크하고 초현실주의적이었다면 김유정은 농촌을 배경으로 한 서정성 위에 해학과 비애를 담은 경향이었다.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소설가지만 이상은 실명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 '김유정'까지 집필하며 친구에 대한 애정을 가감 없이 드러냈다.
은행원인 친구와 글쟁이인 나는 매일매일 은행 안에서, 소설책 속에서 접점이 없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다가 어느 날 교집합처럼 만나면, 우리가 공유했던 과거와 사랑과 우정과 갈등을 놓고 피 터지게 언쟁하며 핏대를 세운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는 잘못을 범하기도 한다. 그것이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 떳떳하다고 우긴다면 그건 불통의 아이콘이 된다. 기억의 곡해가 있다손 치더라도 상대가 상처 받았다면, 사과해야 마땅하다. 그땐 미안했어. 사과하고 돌아서면 또 '레드썬'처럼 각별하게 서로를 애정한다.
지구 어느 별에서 떠돌다가 꽝 부딪친 행성들이 끝내 돌아서지 못하고 서로의 언저리를 맴돌면서 살아가는 우리는 도대체 상극일까, 상생일까.
내가 어떤 인간인지 잘 알면서도 친구는 그걸 사랑해 주는 사람이다. 별과 같아서 보이지 않을 때도 항상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사람이다. 그래서 언제 먹어도 잠시 소화불량을 일으킬지언정 결코 파국으로 갈 수는 없다. 친구란 제2의 자아이기 때문이다.
이상과 김유정처럼 은행원과 소설가도 서로에게 있어 지구별에서 누릴 수 있는 특권이자 위안이다. 너무 다르고 너무 멀어도, 아무것도 변명하거나 설명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익숙하고 하찮아서 자주 거들떠보지도 않았지만 계속해서 그 자리를 지키고 있던 행성, 우정을 우리가 굳건히 지키며 살아가야 할 이유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가수 영탁, FC바르셀로나 대구경기 시축+축하공연 확정…대구스타디움 뒤흔든다
李대통령, 8·15 광화문서 '국민 임명식' 진행…尹 부부 제외 전직 대통령들 초대
경찰, 이철우 경북도지사 관사 압수수색…"결코 좌시하지 않겠다"
한동훈, 당대표 후보 검증 나선 전한길 두고 "진극 감별사"…김문수·장동혁 향해선 "'극우 없다'면서 줄서기"
'홍준표 키즈'였던 배현진 "폭로·비방하는 노회한 영혼" 직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