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현지 생산 여파…수출 감소 본격화
EU·아시아 수출 늘며 전체 감소폭은 완화
친환경차 내수·수출 선방…정부는 협상 총력
미국이 지난달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수요 정체와 미국 현지 생산 확대도 맞물리며 한국 자동차 산업 전반에 경고등이 켜졌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4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28억9천만달러로 지난해 4월에 비해 19.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자동차 수출은 65억3천만달러로 3.8% 줄었고, 수출 물량은 24만6천924대로 8.8% 감소했다.
올해 1~4월 누적 수출액은 238억2천만달러로 지난해보다 2.0% 줄었으며, 대미 수출만 보면 13.6%나 급감했다.
산업부는 "대미 수출은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이 본격화되고 미국 조지아주에 완공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장 가동이 본격화된 영향 등으로 작년보다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현지 생산 확대로 인한 수출 대체도 나타나고 있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 판매량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9% 증가한 8만1천503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아이오닉5, EV6, EV9 등 친환경차의 현지 생산 물량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미국 수출 감소에도 유럽연합(EU), 아시아, 중동 등 타 지역 수출이 늘며 전체 수출 감소폭은 일정 부분 상쇄됐다. 지난달 EU 수출은 26.7% 증가한 7억5천만달러, 아시아는 53.9% 증가한 4억4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수출도 전반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4월 수출량은 7만3천697대로 작년과 비교해 1.4% 늘었다. 전기차 수출은 12.5% 줄었지만 하이브리드차 수출은 9.5% 증가했다.
내수 시장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국내 자동차 판매는 15만622대로 6.7% 증가했고, 특히 친환경차 판매는 34.9% 늘어난 6만9천731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전기차는 50.3% 급증하며 전체 성장세를 견인했다.
생산 측면에서는 4월 국내 자동차 생산이 38만5천621대로 2.2% 감소해 일부 조정 국면을 보였다.
정부는 미국과 통상 협의에서 관세 철회 또는 유예를 이끌어내는데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20일 현재 한미 간 2차 기술 협의가 예정돼 있으며, 관세 유예 시한인 7월 8일 전까지 '7월 패키지 딜' 타결을 목표로 협상을 준비 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