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이 2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이 물가 안정을 최우선 민생 과제로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천명을 대상으로 민생 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0.9%가 '물가 안정'을 꼽았다고 20일 밝혔다. 이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 이하(57.2%), 30대(56.3%), 40대(63.5%), 50대(64.9%), 60대 이상(60.7%) 등 모두에서 물가 안정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또,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20대 이하(23.0%)와 50대(19.3%)에서 높게 나타났다. 30대에서는 '주거 안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나란히 16.9%였다.
민생경제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는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가 53.5%로 1위였다. 이어 일자리문제·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내수 위축(7.2%), 소득 정체·실질임금 감소(6.8%) 순이었다.
한경협은 최근 물가상승률이 2% 초반대에 머물고 있지만, 그간의 고물가가 누적돼 체감 물가가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4.4% 상승했고, 2020년부터 지난 4월까지 16.4% 올랐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추진할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공공요금 부당경감(21.8%), 환율 변동성완화·수입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 등이었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서는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31.9%), 첨단산업·신성장 동력 분야 일자리 창출(21.0%), 노동시장 개혁·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고용확대(20.0%) 순이었다.
주거 안정 과제로는 주택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36.3%)이 가장 높았다.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으로는 교통·물류망 등 인프라 개선(31.4%), 지역 관광·전통시장 활성화(23.1%) 등이 제시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방탄 유리막' 안에서 유세…대선 후보 최초
'TK 지지율' 김문수·이준석 연일 상승세…이재명은?
1차 토론 후 이재명 46.0% 김문수 41.6% '오차범위 내'
'이재명 대세론' 역전 카드…국힘 "사전 투표 전 이준석과 단일화"
[르포] '추진력' 이재명이냐 '청렴' 김문수냐…경기도 격전지 민심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