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관리 인력·예산 턱없이 부족
타 광역시比 예산 111만원↓…산불 등 유사시 대응력 떨어져
대구 내 문화유산 관리 예산이 턱없이 모자란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 인력 한 사람이 관리하는 유산 수가 30개를 넘는 수준이어서 산불 등 유사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북구 함지산 자락의 운곡서당. 비지정문화재인 이곳은 지난달 함지산 산불 당시 화재와 가장 가까웠던 대구시 문화유산이다.
다행히 불길이 인근에서 잡히면서 별다른 피해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운곡서당은 산불 당시 상주인력이 없어 별다른 조치를 하지 못했다. 산불 이후 소방당국이 함지산 진입을 통제하면서 관리인력조차 불이 완전히 꺼진 이후에야 서당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지역 관리 대상 문화유산은 모두 377개다. 이중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와 시의 지정을 받은 문화유산도 184개에 달한다.
지역 문화유산은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 돌봄사업'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 상시적으로 문화재를 모니터링하고 수리작업을 거쳐 원형을 보존하는 예방적 성격의 사업으로 대구시는 공산문화유산연구원에 사업을 위탁해 운영하고 있다.
문제는 관리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현재 대구 내 377개 유산을 관리하는 인력은 12명에 불과한 상태다. 공산문화유산관리원에 따르면 중앙문화유산돌봄센터 지침은 한 사람 당 유산 10~12개 관리를 권장하고 있다.
공산문화유산관리원 관계자는 "한 사람당 문화유산 31개를 관리하고 있다. 더 꼼꼼히 관리하고 싶어도 여건상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다른 광역시와 비교했을 때 예산 사정도 넉넉하지 않다. 올해 기준 부산, 인천, 광주, 울산 등 광역시에서 문화유산 하나 당 투입하고 있는 예산은 평균 386만원으로 책정됐다. 대구의 경우 총 예산이 약 10억3천800만원에 불과해, 문화유산 하나 당 투입되는 예산이 275만원에 불과한 상황이다.
안정적인 센터 운영도 버거운 실정이다. 예산의 70%를 인건비로 지출하고, 13%가량을 연금과 고용부담금으로 지출하기 때문이다. 결국 남은 1억7천만원으로 1년간 센터를 운영하고 보수에 필요한 재료비를 감당해야 한다.
예산과 인력이 모자라다 보니, 유사시 대응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산불이 날 경우 현장에 나가야 하는 보수팀 직원이 입을 방염복 구매를 추진했으나, 인건비를 제외하고 남은 예산이 부족해 무산됐다. 게다가 여름철이 다가오면서 유산 주변의 예초 작업량이 상당해지면서, 인력난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대구시는 예산 확충을 위해 국가유산청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다.
심신희 문화유산과장은 "매년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소요 예산을 국가유산청에 신청하고 있으나, 국가유산청이 한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 예산을 교부하고 있는 상황이다"며 "운영비가 부족한 상황을 인지하고 있으며, 내년 국비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이혼 접수 3개월 전 부동산 판 김상욱 의원…재산 분할 덜 해주려고?
국힘 의원들 '뒷짐', 이미 끝난 대선?…"득표율 공천 반영 필요" 지적도
'尹 탈당'…국힘 '원팀' 이뤄 김문수 지지율 반등 시킬까?
이재명 "빚내서 집 사는 시대 끝나…'가짜 성장' 청산"
野, 윤석열 탈당에 "절로 욕부터 나와" "출당시켰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