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발명은 미래경쟁력…창의력으로 혁신 이룰 것"

입력 2025-05-19 09:27:49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17일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5·18 광주민주화운동 45주기 전야제에 참석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17일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에서 열린 5·18 광주민주화운동 45주기 전야제에 참석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발명의날을 맞아 "과학기술강국 진짜 대한민국을 향해 우리 함께 미래로 나아가자"고 밝혔다.

19일 이 후보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역사를 돌아보면, 발명은 늘 새 시대를 여는 열쇠였다"며 "누구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 수 있는 시대, 여러분 한 분 한 분의 창의력이 모여 대한민국의 내일을 바꾸고 거대한 혁신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1441년(세종 23년) 5월19일 세계 최초의 강수량 측정기인 '측우기'가 반포됐다"며 "측우기는 농업국가였던 조선에서 농사의 효율성을 크게 높여준 혁신적인 발명품이자 서양보다 200년이나 앞선 과학적 성과였다. 이를 기념해 1957년 발명의 날이 처음 제정됐다"고 했다.

이어 "어릴 적 우리나라는 전쟁의 상흔을 지우는 게 시급한 개발도상국이었다. 많은 어린이들은 세계적인 과학자나 발명가가 돼 세상을 이끌겠다는 큰 꿈을 꿨고 그 열정이 모여 세계 경제규모 10위의 선진국으로 우뚝 섰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후위기와 기술전환이라는 대전환의 파도가 밀려오면서 세계 각국은 기술패권 경쟁에 돌입하고 있고 첨단기술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며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특허 출원은 세계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발명이 단순한 아이디어를 넘어 국가의 미래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증거"라고 했다.

이어 "전국 곳곳에서 청소년과 미래세대를 위한 AI·로봇 등, 첨단기술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면서도 "단순한 기술 교육에 그쳐서는 안 된다. 국가가 적극 나서 창의적 사고와 도전정신을 키우고 미래의 발명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든든한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후보는 앞서 지난 17일 AI(인공지능) 투자 100조 원 시대를 열어 AI 세계 3대 강국으로 우뚝 서겠다는 공약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대한민국은 제조업 기반 수출 강국에서 세계가 부러워하는 IT(정보기술) 강국으로 성장했다"며 "이제 기술주도 성장으로 IT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 도약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어 "범용 AI뿐 아니라 산업별 AI를 확대하고 융합해 산업, 문화, 국방, 에너지 등 전 분야에서 기술주도 AI 산업혁명을 이루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