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건설기술, 중소기업 실증 통해 현장 적용 '가속페달'

입력 2025-05-19 11:00:00

국토부, 올해 지원 대상 15개로 확대...과제당 최대 1500만원 지원

기술실증 지원사업 포스터. 2025.5.19. 국토교통부 제공
기술실증 지원사업 포스터. 2025.5.19. 국토교통부 제공

정부가 건설현장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화를 촉진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스마트건설기술 실증을 확대 지원한다.

국토교통부는 19일 "오는 20일부터 2주간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 기술실증 지원사업'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스마트건설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에게 대·중견 건설사의 실제 현장에서 기술을 시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올해로 2년째를 맞는 이 사업은 지난해 10개 과제에서 올해는 15개 내외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과제당 최대 1천500만원의 실증 비용을 지원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기존 기업이 자유롭게 기술을 제안하는 '자율 제안형' 외에 대형 건설사가 직접 필요한 기술을 제시하는 '수요 기반형' 유형을 신설했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현장 수요를 더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대형 건설사가 희망하는 기술로는 ▷숙련공과 협업 가능한 건축현장 내부 마감공사 보조로봇 ▷건설현장 다국적 근로자 통번역 지원 앱 ▷타워크레인 전용 스마트 안전 시스템 등이다.

이번 사업에는 BIM(3차원 건설정보모델링), 탈현장 건설, 건설자동화, 디지털센싱, 스마트안전, 빅데이터·플랫폼 등 6개 분야 스마트건설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단, 선정일로부터 1개월 내 설치 또는 적용 가능하고 시설물의 구조 안전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술로 제한된다.

지난해 지원사업에 선정된 10개 기업은 모두 현장 실증을 완료했으며,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도로선을 따라 자동 주행하며 자동 천공해주는 로봇 'AUTONG'을 개발한 ㈜충청은 실증 이후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 2025'에 참가해 혁신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국토부가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 참여 기업은 "실증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고 개선했을 뿐만 아니라 수요기업과의 접점이 만들어지고 판로개척에도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이번 실증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스마트건설 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기술 상용화를 가속화함으로써 국내 스마트건설 보급 확대는 물론 외국 시장 진출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신청을 희망하는 기업은 6월 5일까지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 누리집(www.smartcona.co.kr)에서 공고문을 확인한 후 신청서를 전자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