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던 산림부산물로 에너지 자립…경북 산림바이오매스 발전소 조성 본격화

입력 2025-05-13 15:44:54 수정 2025-05-13 20:51:05

산불·병해충 피해목 연료화해 열·전기 생산… "지역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 구축"

지난 3월 경북 북동부를 휩쓴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산불 최초 발화 지점 상공에서 동쪽으로 바라본 모습. 이곳에서 시작한 산불로 안동, 청송 등 5개 시군 산림 10만4천ha가 불에 타 수만 톤의 피해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지난 3월 경북 북동부를 휩쓴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산불 최초 발화 지점 상공에서 동쪽으로 바라본 모습. 이곳에서 시작한 산불로 안동, 청송 등 5개 시군 산림 10만4천ha가 불에 타 수만 톤의 피해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경상북도가 초대형 산불과 병해충 확산으로 발생한 대량의 산림 부산물을 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버려지던 목재 부산물을 지역 내 열·전기 자원으로 전환해 에너지 자립형 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13일 경북도에 따르면 '산림바이오매스 발전소 조성 기본계획' 착수보고회 및 시·군 설명회를 지난 12일 열고, 시군 관계자와 산림·에너지 분야 전문가 등과 함께 사업 추진 방향과 입지 검토 계획을 공유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3월 초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5개 시·군을 중심으로 ▷발전소 입지의 타당성 ▷자원 공급 가능성 ▷주민 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열병합발전(CHP)을 기반으로 한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된다.

도는 산불 피해목을 비롯해 숲가꾸기 부산물, 병해충 피해목 등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를 수거해 연료로 전환하고, 이를 지역에서 직접 생산·소비하는 '에너지 자립형 산촌 모델'로 확산해 나갈 방침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도내에서 매년 수십만톤(t)씩 발생하는 산림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동시에, 지역 내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선순환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지난해 경북에서 발생한 산림 부산물은 약 14만7천㎥로, 2년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도 2019년 4만3천t에서 지난해 45만4천t으로, 5년 새 10배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는 이처럼 해마다 늘어나는 산림 부산물을 에너지원으로 전환해 산림 재해지의 자원 순환과 지역경제 회복에 행정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아울러 산림에너지 자립마을 모델을 정착시키고, 저탄소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후속 조치에도 본격 나설 예정이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이번 산림바이오매스 발전소 조성 사업은 산불로 상처 입은 숲을 다시 지역의 자산으로 되살리는 전환적 시도"라며 "산림이 가진 잠재 에너지 가치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지역 에너지 자립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