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분쟁이 화해 국면에 접어들면서 12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대형 기술주와 반도체주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날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6.31% 상승한 210.7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일(213.32달러) 이후 종가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시가총액도 3조1천480억 달러로 불어나며 3조 달러선을 회복했고, 시총 1위 마이크로소프트(MS·3조3천390억 달러)를 추격했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 주가는 8.07% 치솟은 208.64달러에 마감했고,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도 5.44% 올라 12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엔비디아의 경우 주가가 120달러선에 마감한 것은 지난 3월 25일(120.69달러) 이후 처음으로, 이날 종가는 지난 2월 28일(124.91달러) 이후 가장 높다.
통상정책 불확실성 해소가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서 제조하고 있고, 아마존은 중국 제품에 의존하는 판매자들이 많아 그동안 미중 관세 전쟁에 타격을 받아왔다. 엔비디아는 중국으로 수출할 수 있는 칩에 대한 규제를 받아왔다.
전기차업체 테슬라 주가도 6.75% 318.38달러에 거래를 마치며 지난 2월 25일(302.80달러) 이후 약 2개월 반만에 300달러선을 회복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 주가도 7.92% 급등한 639.43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주가도 3.37%와 2.40% 오른 159.58달러와 449.26달러에 마감했다.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은 이들 7개 대형 기술주의 이날 시총은 총 8천375억 달러(약 1천190조원) 늘어났다고 전했다. 이는 삼성전자 시총 2천675억 달러의 3배를 넘는 규모다.
반도체주들도 일제히 급등했다. 미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대만 TSMC 주가는 6.43%와 5.93% 올랐고, AMD와 퀄컴 주가도 5.13%와 4.78% 각각 상승했다.
미 반도체 설계 및 제조 기업인 마벨 테크놀러지와 미 메모리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 주가도 각각 8.13%와 7.49% 급등했다.
이에 반도체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7.04% 폭등했다.
웨드부시 증권의 글로벌 기술 리서치 책임자인 대니얼 아이브스는 "(이번 합의로) 미·중 양국이 더 폭넓은 합의로 가는 가속된 경로에 접어든 것이 명확해지면서 올해에는 시장과 기술주가 새로운 고점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며 "투자자들은 앞으로 수개월간 진행될 무역 협상 진전에 주목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러시아제 소총 반입 제보받아…'이재명 테러' 철저 대비"
김문수 "가짜진보 확 찢어버리고 싶다"…이재명 '형수 논란' 겨냥?
'홍준표 책사' 이병태, 이재명 돕는다…"김문수는 반지성 지도자"
이재명 '위증교사' 재판도 대선 이후로 기일 연기…추후 지정
이재명, 구미서 "박정희, 산업화 공도 있다…진영·이념 뭐가 중요한가"